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시각장애인이 생활용품이나 공공시설을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용하도록 점자 표기 규격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될 전망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7일 ‘제1차 점자발전기본계획(2019~2023)’(이하 제1차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의약품, 화장품, 지하철 등에 적용할 점자의 크기, 높이, 간격 등 표기 규격에 대한 표준화 방안을 연구하도록 했다.
또한 점자 진흥을 위한 조례 표준(안)을 마련해 지자체별로 지역 특성에 맞는 점자 정책이 시행될 수 있도록 했다. 점자 전문 인력의 자격 종류와 요건, 공직 배치 등에 대한 제도 개선 방안도 관계 부처와 협력해 수립할 예정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점자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점자 교육 현장에 접목할 계획이다.
‘점자법’에 따라 점자가 한글과 동일한 효력을 지닌 문자로 인정받은 만큼 시각장애인이 체계적으로 점자를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공공시설, 공적 인쇄물 등 점자 표기 실태, 시각장애인의 점자 사용능력 실태 등을 조사하고 장애 유형, 장애 발생 시기, 학습 목적 등을 고려한 맞춤형 점자 교재도 개발한다. 온라인상에서도 점자를 쉽게 배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시각장애인 학생과 교사에게 양질의 점자 교과용 도서를 좀 더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공급 체계도 개선한다. 점자 인식을 개선하고 점자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점자 메뉴판, 점자 스티커 등을 보급하고 점자 문화유산 전시와 점자 디자인 경진대회 개최 등도 추진한다.
또한 변화된 문자사용 환경에 맞추어 점역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고 국립장애인도서관을 통한 전자 점자 자료의 보급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기본계획은 문자 생활에서 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포용적 언어 환경을 만들기 위한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부 각 부처와 지자체 등과 협력해 매년 점자 발전을 위한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성과를 점검해 실효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