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12월 23일부터 출고되는 모든 담배는 새로운 경고그림과 문구가 표시된다.
보건복지부는 현행 경고그림 표시가 시행된 지 2년이 경과함에 따라 기존 그림에 익숙해지고 내성이 생겨 경고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어 새로운 그림과 문구를 마련하기로 했다.
우선 기존 궐련류 10종, 전자담배용 1종의 경고그림을 모두 새로운 그림으로 교체된다. 궐련류 담배의 경고그림 중 효과성이 낮게 평가된 ‘피부노화’를 삭제하고 ‘치아변색’을 추가했다.
전자담배 경고그림 수위는 강화하고 제품특성에 맞게 니코틴 중독 유발 가능성(액상형 전자담배)과 암 발생 가능성(궐련형 전자담배)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그림으로 변경했다.
경고문구는 폐암, 위암 등의 질병 발생 또는 사망 위험 증가도를 구체적인 수치로 제시하고 흡연의 손실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구성했다.
경고그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가장 효과적인 금연정책 중 하나로 2001년 캐나다를 시작으로 현재 세계 105국에서 시행하고 있다. WHO 담배규제기본협약(WHO FCTC)에서도 경고그림을 주기적으로 수정해 보완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6년 12월 23일 제도가 시행된 이후 36억6000만 갑에서 지난해 35억2000만 갑으로 담배판매량과 흡연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고그림 효과 평가 조사에서도 문구만 있는 것에 비해 흡연의 위험성을 알리고 금연 유도와 비흡연자의 흡연 예방 효과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이전에 출고된 담배의 소진 시간을 감안하면 새로운 경고그림이 부착된 담배는 내년 1월 경부터 소매점에서 본격적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복지부 정영기 건강증진과장은 “이번 경고그림 전면 교체로 담배의 폐해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 불러 일으켜 경고그림의 금연 및 흡연예방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