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새해 첫 현장 방문지로 3일 오후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 자발적 참여 사업장 중 하나인 ㈜현대제철 인천광역시 동구의 인천공장을 방문해 배출시설 관리현황과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이행방안을 점검했다.
이번 미세먼지 배출사업장 점검에는 한강유역환경청, 수도권대기환경청, 국립환경과학원, 인천광역시 등이 공동으로 참여해 환경부와 지자체의 합동단속으로 이루어졌다.
단속지역에는 목재 제조업, 식료품 제조업 등 대형 배출사업장을 비롯해 금속가공업, 자동차수리업 등의 소규모 배출사업장 등 744개 업체가 밀집돼 있다.
이날 사업장 점검은 ‘측정 드론’과 ‘이동측정차량’을 이용해 고농도 대기오염물질 배출 의심 사업장을 선정하고 의심사업장에 단속 인력을 신속히 투입해 불법현장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현재 수도권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 자발적 참여 사업장은 총 55개사로 민간 사업장 중 미세먼지 배출이 많은 사업장을 중심으로 참여하고 있다. ㈜현대제철 인천공장은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전기로 5개 중 1개 시설을 가동중지(시설보수)하고 사업장 내부와 외부에 고압살수차를 확대 운영해 8시간 기준 약 16.2kg의 먼지배출량이 삭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오는 2월부터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면 화력발전소, 1차금속 제조업, 시멘트제조사, 정유회사 등 미세먼지 다량배출사업장의 비상저감조치 참여가 의무화된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미세먼지 문제가 신속히 해결될 수 있도록 민간 사업장에서 오염물질 배출저감을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해 협력해 달라”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