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장애인의 23.8%는 일주일에 2번 이상 운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대한장애인체육회와 함께 전국 등록 재가(在家) 장애인 5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조사’ 결과 지난해 우리나라 장애인생활체육 참여율은 23.8%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 2회 이상(1회당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장애인은 23.8%로 2017년 대비 3.7%포인트(p) 증가했다. 이는 10년 전인 2009년 7.0%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장애인이 주로 이용하는 체육시설(장소)은 ‘근처 야외 등산로나 공원’(61.5%), ‘집 안’(31.8%), ‘장애인 체육시설(복지관 시설)과 장애인 전용체육시설’(14.9%), ‘공공체육시설’(9.6%) 순으로 조사됐다.
장애인이 주변 체육시설(장소)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거리상 가까워서’(60.7%), ‘시설이용료가 무료 또는 저렴해서(10.2%)’ 순으로 많았다. 주변 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23.4%), ‘거리상 멀어서’(17.2%), ‘정보 부족’(13.9%) 등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생활체육 시설 이용 시 보완해야 할 점으로는 비용 지원(27.1%)이 가장 많았다. 이어 체육시설의 장애인 편의시설(14.5%), 장애인용 운동용품과 장비(13.6%), 보조 인력 지원(7.3%) 등을 꼽았다. ‘비용 지원’의 경우 2017년 24.8% 대비 2.3%p 증가해 장애인이 체육활동에 참여할 때 가장 큰 장애물은 비용 부담인 것으로 파악됐다.
장애인 생활체육 정보를 습득해 본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33.6% 만이 ‘있다’고 답했다. 정보 습득 경로는 ‘텔레비전(TV)⸱라디오’(67.6%), ‘장애인 복지관’(8.3%), ‘주변 지인(장애인 포함)’(7.6%) 등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 전문지도자로부터 ‘지도를 받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7.3%로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조사 결과와 지난해 8월 발표한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을 토대로 장애인이 근거리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반다비 체육센터’ 확충,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장애인 생활체육 정책 홍보, 장애인 생활체육 지도자 육성과 배치 확대 등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