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31일 "현대차와 광주시가 완성차 사업 투자협약서에 서명했다. 오랫동안 기다려온 소식으로 입춘과 설을 앞두고 국민들께 희망 드리게 돼 매우 기쁘다"며 "4년 반 동안의 끈질긴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드디어 '광주형 일자리'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면서 "사회적 합의를 간절히 기다려온 모든 국민과 함께 진심으로 축하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광주광역시청 1층 로비에서 진행된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약식'에 참석한 자리에서 "현대자동차는 불확실성이라는 도전에 맞서면서 일자리 만들기와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힘든 결정을 해 주었다"며 "이용섭 시장님은 직접 협상단장을 맡아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절하며 사회적 대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주셨다"고 언급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광주지역 시민단체와 노동계도 협상과정서 성숙한 역량을 보여주셨다. 노·사·민·정 모두 각자 이해를 떠난 지역사회를 위해 양보와 나눔으로 사회적 대타협을 이뤘다"며 "대의를 위해 자기를 희생한 광주정신이 이뤄낸 결과"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광주형 일자리는 혁신적 포용국가로 가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사회적 대타협 통해 적정임금을 유지하며 더많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자동차 차산업도 혁신의 계기가 될 것이다. 무려 23년 만에 완성차 공장이 국내에 새로 지어진다"며 "광주형 일자리가 성공하면 국내 공장도 국제경쟁력을 갖추게 되고 미래차 경쟁력도 대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비용절감을 위해 해외로 나갔던 다른 제조업 공장들이 국내로 되돌아오게 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광주형 일자리는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것 이상의 이미가 있다. 보다 성숙해진 우리사회의 모습 반영한다"며 "산업구조의 빠른 변화속에 노사와 기업에 어떻게 상생할 수 있을지 보여주는 모범사례 되리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는 광주형 일자리의 성공과 전국적인 확산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 어느 지역이든 이 모델을 받아들인다면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약속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는 반드시 타결될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예산과 정책을 미리 준비하고 추진해 왔다. ‘상생형 지역일자리’를 늘리는 것은 지역경제의 회복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면서 "정부는 어느 지역이든 지역 노사민정의 합의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받아들인다면 그 성공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 특히 주력 산업의 구조조정으로 지역경제와 일자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일수록 적극적인 활용을 바라마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오늘 광주형 일자리가 사회적 대타협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 무척 반갑다. 노사간 양보와 협력으로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어서 정말 고맙다"며 "4년 반이라는 긴 시간 동안 인내하며 기다려 주신 국민 여러분께도 감사 인사를 전한다. 공론을 모아가는 과정에 다양한 국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했기에 합의 결과에 대한 수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좀 어렵더라도 우리가 감당하자'는 국민의 공감과 의지가 더해져 '광주형 일자리'는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약식에는 이용섭 광주광역시장, 이원희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본부 의장, 정창선 광주상공회의소 회장, 김동찬 광주광역시의회 의장, 김주영 한국노총위원장, 정병진 광주전남대학총학생협의회 의장, 시민단체, 지역 국회의원(광주 동구남구을 박주선, 광주 광산구갑 김동철, 광주 서구을 천정배, 광주 서구갑 송갑석, 전남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서삼석), 광주 시민(청년, 특성화고교생) 등이 참석했으며 정부에서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박상우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참석했고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해찬 대표, 홍영표 원내대표, 조정식 정책위의장이, 바른미래당에서는 손학규 대표, 청와대에서는 김수현 정책실장, 강기정 정무수석, 정태호 일자리수석, 조한기 제1부속·민형배 사회정책·김우영 자치발전비서관, 김의겸 대변인 등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