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우윤화 기자] 드론 추적을 통해 미세먼지 배출 감시를 수행하는 전문 조직이 생겼다.
환경부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19일 오후 무인항공기(드론)를 활용한 ‘미세먼지 감시(드론추적)팀’을 발족했다.
감시팀은 연간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3월부터 5월 사이 미세먼지 배출사업장을 집중적으로 단속하게 된다.
그동안 환경부는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드론과 이동측정차량을 활용해 수도권 일대 소규모 사업장 밀집지역을 단속해 왔다. 그러나 전문 조직과 장비 부족으로 불법 배출현장 관리에는 한계가 있었다.
미세먼지 감시팀은 실시간 대기질 분석장비가 장착된 이동측정차량을 이용해 대기오염지역의 오염현황을 파악한다. 이후 고농도 미세먼지 배출이 의심되는 사업장을 선정해 단속인력을 투입하고 불법 현장을 점검하게 된다.
미세먼지 감시팀은 배출원 추적팀 4명, 감시인력 6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환경부는 올해 안에 오염물질 측정센서와 시료 채취기가 장착된 드론 4대, 실시간 대기질 분석장비를 장착한 이동측정차량 2대 등의 장비를 투입해 단속을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지난해 4월 11일 경기도 포천 일대에서 드론과 이동측정차량을 활용해 영세사업장 밀집지역을 점검한 결과 초미세먼지 농도(PM2.5)가 11일 28㎍/㎥에서 12일 14㎍/㎥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올해부터 ‘소규모 사업장 방지시설 설치’ 지원 사업도 병행한다. 방지시설 설치 지원 사업은 인쇄, 염색업, 아스콘제조업 등 소규모 영세사업장(4~5종)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노후 방지시설을 개선하거나 신규설치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시범사업으로 100개 사업장에 대해 최적방지시설 평균 설치비용 2억 원 중 1억 6천만 원을 지원한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사업장 단속에 효과적인 단속장비와 사업장 방지시설 설치 지원 사업을 적극 늘려 미세먼지 배출이 획기적으로 저감될 수 있도록 총력을 대응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