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전날 이뤄진 경사노위의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을 현행 3개월에서 최대 6개월로 확대하는 방안 첫 사회적 합의한 것과 관련해 "경사노위의 탄력근로제 합의는 아주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며 "우선 합의된 내용 자체가 지금의 경제 상황에서 꼭 필요한 내용이다. 과정을 봐도, 서로 이해관계가 대치될 수 있는 문제들을 서로 타협하면서 합의를 이룬 것이다. 내용 자체도 굉장히 중요한 합의이고, 나아가서는 그런 문제를 사회적 대화를 통해서 해결한 첫 사례"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문 대통령은 참모들과 가진 차담회에서 "우리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는 과제들이 많은데 그런 과제들을 앞으로도 이런 사회적 합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준 것 같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경제상황은 앞으로 여러 가지 불확실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국제 경기도 좋지 않고 4차 산업혁명이라는 것도 아직은 구체적이지 않고, 여러 가지 불확실성들로 가득찬 미래를 향해서 나아가야 하는 상황"이라며 "그런데 이번에 노사정의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서 걸음을 했다는 게 그 자체로 귀중한 첫걸음이 되었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이렇게 어렵게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진 만큼 신속하게 후속 입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면서 "그게 경사노위에서 기업과 노조가 어렵게 일궈낸 결실을 수확하는 길"이라고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끝으로 "지금 논의되고 있는 ILO 협약 비준 문제에 대해서도 노사정이 성의를 다해서 머리를 맞대고 협의해서 사회적 합의의 소중한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를 걸어도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