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오후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통화에서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의 주요 결과 및 평가를 공유하고 후속 대책을 위한 한미간 공조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 교환을 가졌다고 김의겸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싱가포르 정상회담에 이어 또 한 번 김 위원장을 직접 만나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이라는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장시간에 걸쳐 심도 있는 협의를 가진 데 대해 평가했다.
특히 "정상 차원에서 서로의 입장을 직접 확인하고 구체 사항을 협의한 만큼 후속 협의에서 좋은 성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회담 결과를 문재인 대통령과 가장 먼저 공유하고 의견을 구하고 싶었다고 하면서, 회담 내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지구상에 마지막으로 남은 한반도의 냉전적 갈등과 대립의 시대를 종식하고, 평화의 새 시대를 열어나가는 역사적 과업의 달성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의 지속적인 의지와 결단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우리도 한미 간 긴밀한 공조하에 필요한 역할과 지원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한 데 대해 아쉬움을 표하는 한편, 향후 북한과의 대화를 통해 타결해 나가고자 하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대화해 그 결과를 자신에게 알려주는 등 적극적인 중재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향후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실천적으로 이행해 나가도록 긴밀히 공조해 나가자"고 언급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미 정상통화에 앞서 2차 북미 정상회담 합의 결렬과 관련해 베트남 하노이 JW메리어트 호텔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이)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비핵화 의지가 있었지만, 완전하게 제재를 해제할 준비는 안 돼 있었다"면서 "(북한이) 제재 해제를 원했지만 우리가 원했던 것을 주지 못했다"며 "현재 제재가 유지되고 있다. 제재가 하나도 해제되거나 완화된 게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비핵화 요구와 북한의 제재해제 입장 사이의 간극을 어떻게 좁혀나갈 것이냐는 질문에 "일단은 차이가 있다"며 "우리가 원하는 비핵화를 우리에게 줘야지만 우리도 제재 해제를 해줄 수 있다"며 "그러나 김정은 국무위원장, 북한과 계속 좋은 친구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은 "싱가포르에서 합의한 바에 대해 많은 진전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고 실제 진전이 이뤄졌지만, 끝까지 가지 못했다"며 "저는 더 많은 걸 요구했고 김 위원장은 준비가 돼 있지 않았다.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