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외교부는 4일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5∼7일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한미 북핵 수석대표 간 협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 본부장은 이번 방미 기간 중 미국 측으로부터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의 상세한 결과를 청취하고 양국 간 평가를 공유하는 한편, 북미 후속 대화의 조속한 재개 등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한 논의와 조율을 가질 예정이라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이 본부장은 이번 방문 계기에 비건 대표 외에 다른 북핵 및 북한 문제 관련 미 행정부 인사들과도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 본부장의 방미는 지난달 27~28일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 결렬로 이후 북미간 협상 동력을 살리기 위한 우리 정부 행보의 일환이다.
4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회의에서 정부는 과거 경험이 있는 스웨덴 남북미 3자회동 등 민관 1.5트랙 대화를 추진하고,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 방안을 미국과 협의키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4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우리가 중재안을 마련하기 전에 보다 더 급선무는 미국과 북한 모두 대화의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면서 "지금까지 어렵게 여기까지 왔지만 무너지는 것은 순간이다. 북미 모두 대화의 궤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북미가 인내심을 갖고 이탈하지 않도록 우리가 최선의 노력을 다하자"고 언급했다.
특히 문 대통령 지난달 28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가까운 시일 내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나 보다 심도 있는 협의를 계속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동의하고 외교 경로를 통해 협의해 나가자"고 했다.
한편 이낙연 국무총리도 국가안전보장회의(NSC)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지난해 5월 북미대화 위기를 겪었던 때보다 이번의 쟁점이 복잡하고 정확한 상황 파악과 정확한 중재안이 필요한 시점이다"며 "요란하지 않게 차분하게 진행하되, 흔들림이 없어야 하고 북미 이견만큼이나 남남갈등의 관리도 중요하다. 남남갈등이라고는 하나 과거와 미래의 싸움이며 과거를 잊지 못하는 사람들이 불안해하고 있지만 우리는 결과로 설득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