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정부가 중소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우수 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시제품 제작, 실험과 실증 등을 위한 자금을 지원한다.
행정안전부는 중소·중견기업의 우수 재난안전기술을 발굴해 기술을 향상시키고 제품으로 개발돼 판매될 수 있도록 ‘재난안전기술 사업화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지난해 처음 시행된 사업화 지원 사업에는 재난감지 기기, 안전위험 측정기기 등 9개 지원 대상 분야에 10개 중소기업이 선정돼 정부에서 총 38억 원을 지원해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현재 실내 라돈·미세먼지 농도검측기, 딥러닝 영상판독기, 사물인터넷(IoT) 안전모, 직교합성 열화상 IP카메라 등 안전관리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많은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신소재를 이용한 지진 충격흡수장치(damper) 실증실험도 진행하고 있다.
행안부는 올해도 10개 내외의 신규 과제에 대해 2년간 총 43억 원 규모의 지원 사업을 추진할 계획으로 오는 4월 5일까지 참여 기업을 공모한다. 사업화에 참여한 기업이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 등을 해소하기 위한 컨설팅 지원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허언욱 행안부 안전정책실장은 “재난안전기술 사업화 지원을 통해 안전 기술의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중소기업의 판로 개척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