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노승희 기자]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악취로 불편을 겪는 인천 송도, 청주 오창, 철원·포천 지역 3곳에 대해 최신 측정기법을 활용해 3월 25일부터 12월 말까지 악취실태를 조사한다.
3곳은 환경부가 악취 배출원과 주거지 사이의 거리, 민원건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했다. 주거지 근처에 각종 산업단지와 축사 등 악취를 배출할 수 있는 시설들이 있고 악취 배출원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언제든 악취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3곳의 지난해 악취 민원 평균 건수는 318건으로 지난해 악취 민원은 인천 송도 618건, 철원·포천 252건, 청주 오창 85건 순으로 많았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이번 조사 대상 3곳에 대해 화학적이온화질량분석기(SIFT-MS), 광학가스이미징카메라(OGI camera) 등 최신 측정장비와 격자법을 활용해 악취실태를 조사할 계획이다.
또한 악취배출원에 설치한 시료자동채취장치를 통해 악취 발생 시 실시간으로 시료를 포집해 원인물질을 조사하고 대기질 측정정보를 활용한 모의계산 분석으로 대상 지역의 악취 배출원을 정밀하게 추적할 예정이다.
한국환경공단은 악취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개선이 필요한 경우 악취 방지시설 설치 등의 맞춤형 악취 저감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악취관리지역 지정요건을 충족한 경우 해당 지자체에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권고할 방침이다. 해당 지자체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환경부의 악취관리지역 지정에 따라야 한다. 현재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받은 곳은 강원 1곳, 경기 8곳, 경북 1곳, 경남 1곳, 전북 3곳, 전남 1곳, 충남 6곳, 제주 2곳 등 총 41곳에 이른다.
신건일 환경부 대기관리과장은 “그간 악취관리지역 확대 등 악취 정책에도 불구하고 악취로 인한 민원이 지속되고 있다”며 “악취실태조사 사업은 악취 때문에 피해를 겪는 주민들의 고통을 덜어주는 데 기여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