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해 6월부터 최근까지 전남 지역의 생물자원 전통지식을 조사해 총 2,539건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통지식 조사는 지난 2010년 지리산국립공원 일부, 2017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신안·진도·완도 지역에 이어 세 번째다.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고흥·여수 다도해해상, 무등산, 월출산 국립공원 지역의 마을 106곳에 거주하는 어르신 299명(평균 79.1세)을 대상으로 개별 또는 집단 면담 방식으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 관속식물, 어류, 무척추동물에 속하는 340여 종의 생물자원이 약용, 생활용, 식용, 어로용, 제충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 것을 확인했다.
이어 전남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활용한 생물자원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 이번에 발굴한 2,539건에 지난 조사 지역 일부에서 발굴한 3,017건을 분석해 쑥, 느릅나무, 벼, 쇠무릎, 호박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배탈·설사나 복통 또는 코피가 날 때 쑥즙을 마시거나 쑥잎 으깨 붙이기, 부스럼이나 종기에는 느릅나무 껍질 붙이기, 두드러기에는 볏짚을 태운 연기를 쐬기, 허리나 무릎 관절이 아플 때에는 쇠무릎 뿌리를 달여 먹기, 아기를 낳고 몸이 부을 때는 호박 먹기 등이 있다. 이밖에 오줌을 자주 싸면 가물치를 고아 먹였고 허리가 아플 때는 왕지네를 먹는 등 동물자원에 대한 새로운 전통지식도 발굴됐다.
서흥원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활용부장은 “생물자원 전통지식은 산업적으로 활용된다면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가치가 있다”며 “다만 전통지식을 갖고 있는 정보제공자의 고령화로 점차 잊혀져가고 있기 때문에 국립공원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생물자원 전통지식 조사는 내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