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우윤화 기자] 5월은 봄나들이, 소풍, 수학여행, 각종 야외 행사 등으로 사람들의 이동이 활발해지는 시기로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행정안전부는 5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5년 간 5월에 발생한 전체 교통사고는 10만2,528건으로 사고 대부분은 도로(9만8,599건, 96%)에서 발생했다. 열차, 지하철, 항공기 사고의 경우 발생 건수는 적지만 사망률이 높았다.
2017년 교통사고를 원인별로 보면 도로교통사고는 운전자 법규위반이 21만6,322건(99.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전거 사고는 운전자 부주의 3,239건(60%), 열차·지하철 사고는 자살사고(41건, 39%) 비중이 높았다.
어린이날 행사와 각종 축제로 야외활동이 많아 사고 발생 위험이 높고 부처님 오신 날 전후로 등산객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안전수칙 준수도 필요하다.
재난연감에 따르면 2017년 5월 여가활동사고는 총 904건이었다. 이 중 등산사고는 681건(75%)으로 가장 많았고 놀이시설사고는 64건(7%)으로 비중이 작지만 사고 당 사망비율은 5%(3건)로 가장 높다. 원인별로는 실족·추락이 2,482건(37%)으로 가장 많고 조난 1,465건(21%), 개인질환 899건(13%), 안전수칙불이행 818건(12%) 순이었다.
아울러 본격적으로 모내기가 시작되는 영농기로 연중 농기계 사고 발생도 가장 많다. 2017년 농기계 월별 사고건수는 3월부터 증가해 5월에 사고 발생 빈도가 가장 많고 인명피해도 높다. 원인별로는 운전부주의 977건(70%), 안전수칙불이행 426건(29%), 정비불량 37건(3%) 등이었다.
2017년도 지역별 통계를 보면 경북(300건, 20.6%)과 경남(268건, 18.4%)에서 사고 발생건수가 높지만 사고 당 사망자수는 강원도(사고 53건, 사망 17명)에서 사망률(3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중독 사고발생도 주의해야 한다. 5월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세균의 유입과 오염된 음식물 등의 섭취로 의한 식중독 발생이 높은 시기이다.
3~5월 봄철(443건, 24.9%) 식중독 발생건수는 8월 여름철(218건, 12,3%)보다 많다. 올해 식약처 통계에 따르면, 음식점이 202건(56%)로 가장 많고 학교 44건(12%), 학교 외 집단급식 1,875건(10%) 순으로 발생했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음식물이 세균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조리 전 손 세정제를 사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는다. 또한 칼과 도마를 사용 할 때는 조리가 되지 않은 식품과 이미 조리가 된 식품을 구분해서 사용해 교차 오염을 방지해야 한다.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5월에 발생하기 쉬운 재난안전사고에 대비해 각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함께 중점 관리해 소중한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