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인 반달가슴곰이 비무장지대에서 포착됐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비무장지대(이하 DMZ) 내 설치한 무인생태조사 장비를 통해 DMZ 동부지역 일대에서 반달가슴곰의 서식을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국립생태원 연구진이 2014년부터 설치한 92대의 무인생태조사 장비 중 하나에 반달가슴곰 1마가 찍힌 것이다. 무인생태조사 장비는 탐지기기가 장착된 사진기로 온혈물체의 움직임을 포착하면 자동으로 사진을 찍는다.
사진이 찍힌 시점은 지난해 10월로 근처 군부대에서 보안 검토를 거쳐 올해 3월 사진을 국립생태원으로 보내오면서 반달가슴곰의 서식이 확인됐다.
DMZ에서 반달가슴곰의 생생한 모습이 카메라 약 5m 앞의 가까운 거리에서 찍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DMZ에서 반달가슴곰을 봤다는 군인들의 목격담과 수년전 희미한 영상만이 있어 서식 가능성만 확인된 상태였다.
사진에 찍힌 반달가슴곰은 계곡을 가로질러 이동하고 있다. 크기를 볼 때 태어난 지 8~9개월 밖에 안 된 어린 새끼로 몸무게는 약 25~35kg 정도 될 것으로 연구진은 추정했다.
또한 일반적으로 어미곰이 한 번에 1~2마리의 새끼를 출산하는 점을 감안해 형제 곰이 있을 수도 있고 부모 개체까지 최소 3마리 이상의 반달가슴곰이 이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반달가슴곰은 일제 강점기 해수구제사업, 서식지 감소 등의 이유로 개체수가 급감해 멸종위기에 처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1998년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으로 지정해 복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후 2001년 5마리 수준이었던 반달가슴곰은 현재 61마리로 늘어나 지리산과 수도산 일대에 살고 있다.
유승광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은 ”반달가슴곰 확인으로 DMZ의 우수한 생태적 가치가 다시 한 번 입증된 만큼 앞으로 DMZ 일대의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에 대한 조사를 확대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