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4일 "3.1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인 올해는 독립과 애국의 정신을 기념하는 행사가 전국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다. 태극기가 펄럭이고, 애국가가 울릴 때마다 가장 심장이 뛸 분들이 바로 여러분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가유공자 및 보훈가족을 초청해 오찬을 갖고 "국민들은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을 통해 대한민국이 헤쳐온 고난과 역경의 역사를 기억한다"며 "우리는 식민지에서 독립을 쟁취했고, 참혹한 전쟁에서 자유와 평화를 지켰다"고 밝혔다.
이어 "가난과 독재에서 벗어나 경제발전과 민주화를 이뤄냈다"면서 "기적이란 말로 우리 국민들이 함께 자부심을 가져도 좋을, 위대한 성취"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국가유공자는 국가가 위기에 처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을 때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친 분들"이라며 "국가유공자와 가족에 대한 보상과 예우는 개인을 넘어 공동체의 품위를 높이고, 국가 스스로의 가치를 증명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지난 2년 동안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들이 피부로 느끼는 보훈, 국민의 마음을 담은 ‘따뜻한 보훈’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정부는 국가유공자와 가족, 후손까지 합당하게 예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국가유공자와 가족이 겪는 생계의 어려움을 해소하도록 예우·지원을 늘려가고 있다"고 밝힌 뒤 "올해 신규승계자녀 수당을 두 배 이상 인상했고 생활조정수당도 대폭 증액했다. 지급 대상도 5.18 민주유공자와 특수임무유공자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유가족의 취업·창업 지원과 함께 주거지원, 채무감면 등 생계안정을 위한 지원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평화가 절실한 우리에게, 보훈은 제2의 안보"라면서 "보훈이 잘 이뤄질 때국민의 안보의식은 더욱 확고해지고, 평화의 토대도 그만큼 두터워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지난해 순직 경찰과 소방공무원들의 사망보상금과 유족연금을 현실화했고, 올해는 순직 군인의 보상을 상향하기 위해 군인재해보상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군 복무로 인한 질병이나 부상에 대해 충분히 의료지원을 받도록 병역법 개정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작년 보훈의학연구소와 인천보훈병원을 개원했고 강원권·전북권 보훈요양원도 2020년과 2021년에 개원할 것"이라며 "국가유공자들을 편하게 모시고자 올 10월 괴산호국원을 개원하고 제주국립묘지를 2021년까지 완공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아직도 부족한 점이 많을 것"이라며 "국가유공자가 우리 곁에 계실 때 국가가 할 수 있는 보상·예우를 다하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예산을 투입해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의 마음을 보듬는 정부가 되겠다"고 다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보훈은 국민통합의 구심점이다. 정부는 지난해 국가보훈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독립과 호국과 민주를 선양사업의 핵심으로 선정했다"며 "독립, 호국, 민주는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든 애국의 세 기둥"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100년 전 평범한 사람들이 독립군·광복군이 됐고, 광복군 후예들이 국군이 돼 대한민국을 지켰다"며 "선대 의지를 이어받은 아들딸·손자손녀들이 4·19 혁명을 시작으로 민주화 여정을 걸어왔고, 국민소득 3만불의 경제발전을 이뤄냈다"고 강조했다.
더 나아가 "우리 앞에는 더 나은 경제, 더 좋은 민주주의, 더 확고한 평화를 향한 새로운 100년의 길이 기다리고 있다"며 "지금까지 우리가 성공했듯이, 새로운 100년도 우리는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나라와 국민을 위한 참전용사와 민주화유공자의 희생·헌신이 후손에게 자랑스러운 유산으로 전해질 때 새로운 100년의 길은 희망의 길이 될 것"이라며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여러분의 이야기가 어제의 역사가 아닌 살아 숨 쉬는 오늘의 역사가 되도록 늘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