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우리나라 특이생육지에서 털들깨, 섬쇠무릎 등 미기록 식물 5종이 발견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2016년부터 최근까지 진행한 식물다양성 조사한 연구를 20일 발표했다.
특이생육지는 지형과 지질적인 특징이 다른 지역과 달라 특이한 생태계를 보이는 곳으로 강원도 석회암 지대, 제주도 곶자왈 지대, 경상도 퇴적암 지대, 서남해 섬지역 등을 말한다.
이번에 발견된 미기록 식물 5종은 지금까지 일본 고유종으로 알려진 ‘털들깨’, ‘넓은잎대가래’ 2종과 중국 고유종으로 알려진 ‘네잎주걱비름’, ‘여름개밀’ 2종이 포함돼 있다. 나머지 1종인 ‘섬쇠무릎’은 우리나라를 제외한 중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에 넓게 분포한 것으로 알려진 종이다.
꿀풀과에 속한 털들깨는 제주도 곶자왈 지대에서, 가래과에 속한 넓은잎대가래는 강원도 석회암 지대(영월군)의 작은 하천에서 발견됐다. 돌나물과에 속한 네잎주걱비름과 벼과에 속한 여름개밀은 서남해 섬지역(신안군)과 경상도 퇴적암 지대(의령군)에서 각각 발견됐다. 비름과에 속한 섬쇠무릎은 전라남도 신안군의 섬지역 민가 주변에서 발견됐다.
특히 네잎주걱비름은 중국의 안후이성(安徽省)의 황산(黃山)과 구화산(九華山) 일대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희귀식물이다. 중국 자생지와 수백 km 떨어진 국내에서 발견돼 식물지리학적으로 특이한 경우다.
털들깨는 우리나라의 주요 식용작물인 들깨의 품종개량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가치가 높고 네잎주걱비름은 꽃과 잎이 예뻐서 관상용 식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미기록 5종이 우리나라 자생생물로 국제 학계에 공식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관련 학술지에 올해 하반기까지 논문을 투고하고 절멸 방지를 위해 종자확보, 개체 증식을 추진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