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5일 ㈜불스원, ㈜LG생활건강, 웅지코웨이(주) 등 19개 기업, 시민단체 2곳과 함께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제2기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다.
제2기 협약은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를 위해 기업과 시민사회가 힘을 합쳐 시장 자율의 제품 안전 선순환 구조를 형성됐다. 올해 1월 31일 정부 합동으로 발표한 ‘화학물질·화학제품 관리 강화대책’ 후속 조치 중 하나다.
올해 6월 25일부터 2021년 6월 24일까지 협약 기간 동안 생활화학제품 내 원료 유해성평가도구 도입 적용, 생활화학제품 전성분 공개 확대, 위반제품 교환 환불 체계 개선, 생활화학제품 안전 책임주의 확대 등을 위해 기업, 시민사회, 정부가 함께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참여 기업은 개별적으로 세부 이행계획을 수립해 오는 8월 말까지 정부에 제출하고 분기별로 이행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시민사회는 유해성 평가도구 개발에 참여하고 자발적 제품 안전 관리 노력과 성과를 공유해 사회적 소통을 촉진하는 역할을 맡는다.
한준욱 환경부 화학제품관리과장은 “지난 2년 동안 체결한 제1기 자발적 협약은 18개 기업체가 참여했다. 1,125개 생활화학제품의 전 성분을 공개하고 1,004종의 생활화학제품 성분사전을 발간하는 성과가 있었다”며 “이를 바탕으로 제2기 협약이 기업의 제품 안전 책임주의를 확산하고 시민사회가 이를 더욱 촉진하는 선순환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