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특허청과 26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산업계의 공인된 소통 언어인 한국산업표준(KS) 용어를 특허심사에 활용해 심사 품질을 개선해 나간다.
이번 협약을 통해 특허청은 국가기술표준원이 보유한 국내 유일의 ’KS 용어‘ 데이터베이스(DB)를 심사관용 검색시스템에 구축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특허심사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허문서에 표현된 전문기술 용어는 특허권을 정확하게 해석하는 핵심 요소로 특허청은 그동안 산업 전 분야에 폭넓게 걸친 전문 기술용어를 지속적으로 수집해 왔다. 그러나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문기술 용어는 표준국어사전에는 등록돼 있는 경우가 적고 학회에서도 산발적으로 용어사전을 편찬해 제공하는 등 관련 정보를 얻는데 애로가 많았다.
기표원은 KS 표준관리 총괄기관으로 산업분야별 현장 종사자, 연구개발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된 표준협의체를 통해 전문기술 용어가 포함된 3천여종의 KS 표준을 제정해 왔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국제표준화기구(ISO/IEC)의 기술용어도 KS 표준으로 도입해 보급하고 있다.
특히 범정부 표준⸱인증 통합검색 포털인 'e-나라표준인증'을 통해 KS 용어 10만여건을 DB로 구축해 산업계⸱학계 종사자들이 전문기술용어를 쉽게 찾아보고 활용하도록 ‘표준 용어사전’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김규로 기표원 기술규제대응국장은 “이번 협업을 계기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데이터 기반의 정부 행정 혁신을 견인하고 국제 무역에서 통용되는 전문기술용어를 확산해 수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고 했다.
문삼섭 특허청 정보고객지원국장은 “국가가 보유한 방대한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특허심사 품질 제고를 통한 특허행정서비스 혁신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