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실내환경 조성을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된 ‘실내공기질 관리 강화방안’이 추진된다.
정부는 4개 분야에서 10개의 과제를 추진해 2022년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2017년 대비 약 10% 저감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먼저 올해 연말까지 전국 모든 유치원과 학교에 공기정화설비 설치를 완료하고 영유아, 어르신 등이 이용하는 사회복지시설에도 공기정화설비 설치를 지원하기로 했다. 학교의 공기질 측정횟수를 늘리고 학부모 참관을 허용해 학교 공기질 점검에 대한 신뢰도도 높일 방침이다.
하루 평균 1천만 명이 이용하는 지하철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2022년까지 지하역사 승강장과 대합실 환기설비 중 설치된 지 20년이 지난 노후 환기설비를 단계적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안에 전국 338개 지하역사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환기설비 설치 의무를 적용받고 있지 않던 민간 노인요양시설, 소규모 영화관과 공동주택에 대해 환기설비 설치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가정용 이외에 지하역사, 강당 등 넓은 공간에서 사용하는 대용량 공기청정기의 미세먼지 제거 성능에 대한 한국산업표준(KS)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국 627개 모든 지하역사에 초미세먼지(PM2.5) 자동측정기를 설치해 앞으로는 지하역사 내 공기질을 대기질처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7월부터 강화되는 실내 미세먼지 기준에 대비해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지자체의 실내공기질 점검이 강화될 예정이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추경예산이 확정되면 조속히 집행하고 이번에 관계부처가 함께 마련한 과제들을 차질 없이 이행해 고농도 미세먼지 철이 다시 시작되기 전에 실내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대응체계를 갖추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