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청와대에서 레우벤 리블린 이스라엘 대통령과 정상회담 자리에서 "레우벤 리블린 대통령님과 이스라엘 대표단의 방한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이번 대통령님의 방한으로 2010년 이후 9년 만에 양국 간 정상회담을 하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한국과 이스라엘은 민주주의와 시장 경제라는 기본 가치를 공유하면서 1962년 수교 이래 반세기 넘게 우호 관계를 꾸준히 발전시켜왔다"며 "양국 교역 규모는 지난해 27억 달러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고, 2001년부터 양국정부가 공동출자하는 한-이스라엘 산업연구개발기금 사업을 통해 무인항공기 등 첨단 분야에서도 공동성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양국은 상호 보완적인 경제협력 구조로 돼 있고, 미래의 첨단산업 육성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국 관계는 더욱 발전할 잠재력이 크다고 생각한다"며 "양국 간 FTA가 조기에 타결된다면, 양국 간 투자, 서비스 등 경제협력이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스라엘은 국민 1인당 IT기업 창업 수가 세계 1위 국가로 잘 알려져 있다"며 "한국도 혁신성장과 중소기업 중심 경제를 구현하기 위해 혁신벤처창업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이스라엘의 성공 사례에 대한 경험과 지혜를 배우고자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난 2002년 통신부 장관 재직 때 방한하신 이후 17년 만에 대통령으로서 다시 방한하신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한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방한 기간 동안 풍성한 성과를 거두시고, 또 한국의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를 충분히 즐기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레우벤 리블린 이스라엘 대통령은 이에 "문재인 대통령님, 이렇게 함께할 수 있게 된 것을 대단히 기쁘며 생각하며, 또 따뜻하게 환대해 주신 데 대해서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화답했다.
이어 "우리 나라, 우리 민족들 사이에서는 대단히 큰 유사성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며 "아주 끔찍했던 2차대전이 끝났던 71년 전에 한국과 이스라엘은 모두 아주 큰 재난에 직면해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2차대전이라는 큰 전쟁의 폐허를 딛고 위대한 민족 국가를 건설했다"고 말했다.
또 "지난 71년간 우리는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고, 그 어려움을 이겨내고서 성공을 거뒀다"며 "1948년 우리는 우리를 지켜낼 수 있는 무력이 부재한 상태였는데, 이제 우리를 지킬 수 있는 국방력이 있다"고 말했다.
레우벤 리블린 이스라엘 대통령은 "전에는 경제가 존재하지 않다시피 했지만 이제는 우리가 전세계에 어떻게 성공할 수 있느냐,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보여줄 수 있는 경제를 건설했다"면서 "우리는 농업을 발전시키고, 관개 시스템을 발전시켜서 사막을 아주 멋진 정원으로 만들 수 있을 만한 전환을 일으켰고 한국도 아주 위대한 산업을 일으켜서 전세계가 경이롭게 감탄하면서 바라볼 수 있을 만한 경제를 건설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우리에게는 이웃 국가들과의 신뢰 부재라고 하는 어려움도 존재한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최선을 다해 이웃 국가들에게 함께 살아가는 것이 재앙이 아니라 함께 미래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면서도 나이브(naive)하게, 순진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우리가 이웃들과 형제들과 또 중동식으로 말하는 사촌과 잘 지내기 위해서는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고 짚었다.
레우벤 리블린 이스라엘 대통령은 "한국과 이스라엘에는 양국의 지도자에게 있어서 문제는 어떻게 국민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 입니다"라며 "과거에는 우리가 전선이 있고, 그 전선에만 미사일의 위협이 있었다라고, 존재했다고 생각한다면 이제는 그 위협이 민간인들에게 국민들에게 다가왔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끝으로 "우리는 그 전선 자체가 전국에 산재해 있는 국민과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제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믿는다. 한국과 이스라엘은 육군이 필요하면 육군을 증강시켰다"며 해군도 그렇게 했다. 이제는 우리 국민들이 존재에 직접적으로 위협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을 만한 미사일을 가지고 국민들을 보호해야 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