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환경표지 인증을 획득한 기업의 매출 증가율이 평균 20%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친환경제품에 대한 환경표지 인증을 획득한 956개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표지제도 정책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환경표지 인증은 제품을 생산, 소비, 폐기하는 전 과정에서 에너지와 자원의 소비를 줄이고 오염물질을 최소화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선별해 친환경 표지(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다.
환경표지를 인증 받은 후 해당 제품의 매출액이 증가한 기업은 전체 응답기업 중 852개로 약 89.1%를 차지했다. 유형별로는 대기업 19개(2%), 중견기업 46개(4.8%), 중소기업 891개(93.2%, 사회적기업 83개 포함) 순이었다.
'매출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기업의 평균 증가율은 20.1%로 497개 기업(52%)이 10% 이하, 143개 기업(15%)이 10%~20%, 141개 기업(14.7%)이 20%~50%, 71개 기업(7.4%)이 50%~100% 등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한국표준협회에서 환경표지 인증기업의 매출 증가액을 분석한 결과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총 2,034개 기업에서 1조1,980억 원의 매출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들은 환경표지 인증에 따른 주요 성과로 제품의 환경성 개선(94.5%), 고객과의 관계 개선(93.8%), 기업 이미지 향상(93.7%)을 높게 평가했다. 인증기업의 89.4%는 환경표지 인증에 대해 ‘만족한다’고 답변했다.
‘환경표지 인증취득 목적을 충족했다’고 답한 기업은 92.6%로 제품 마케팅 활용이 32.6%로 가장 높았다. 이어 고객사 요구(24.4%), 제품 환경성 개선(22.7%), 기업 홍보(17.5%)가 뒤를 이었다.
이율범 환경부 환경산업경제과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환경표지인증이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제도 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을 보완해 친환경 제품 소비 확산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