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환경부와 인천광역시, 국립생태원은 18일 오전 11시부터 인천광역시 송도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검은머리갈매기 15마리를 야생으로 방사한다.
검은머리갈매기는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에서도 취약(VU)으로 기재된 국제적 멸종위기 종으로 전 세계에 1만 4,000여 마리 밖에 살지 않는다. 해안 갯벌이나 강 하구에 서식하며, 인천 송도에 우리나라 전체 개체수의 약 95%인 600여 쌍이 찾아와 번식한다.
이번에 방사하는 검은머리갈매기 15마리는 지난 5월 10일 인천 송도 9공구 매립지에서 구조한 알 40개 중 인공 부화와 육추에 성공한 31마리에서 선별됐다.
국립생태원 동물복원1팀은 인천 송도 매립지에서 검은머리갈매기 생태조사 중 너구리와 까치가 검은머리갈매기의 알을 먹는 것을 확인하고 40개 둥지에서 알 40개를 경북 영양에 위치한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로 이송했다.
인천 송도 매립지는 국내에서 번식하는 검은머리갈매기의 95%가 서식하는 핵심지역으로 이번에 알을 구조한 지역의 200개 둥지 중 구조된 알 40개를 제외하고 많은 둥지의 알이 너구리, 까치 등에게 잡아먹혔다.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이번에 방사한 검은머리갈매기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비행, 먹이사냥, 동종인식 등 자연적응 훈련을 실시했다. 또한 지속적인 관찰을 위해 개체표지용 유색가락지와 인공위성추적기를 부착했다.
방사 이후 검은머리갈매기가 기존 야생개체군에 원활히 합류할 수 있도록 서울동물원에서 멸종위기종복원센터로 옮겨온 검은머리갈매기 어른새(성조)와 방사될 검은머리갈매기를 합사해 이루어졌다.
이호중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검은머리갈매기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에 처한 많은 조류들이 보전되고 개체수가 늘어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