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지난해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대상 774개 기관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총 421만 톤CO2eq으로 기준배출량 502만 톤CO2eq 대비 19.6%인 98만 톤CO2eq을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감축률 19.6%는 전년 감축률 18.3% 대비 1.3% 상승한 수치로 지난해 대상기관이 온실가스 감축에 힘쓴 결과로 내다봤다.
지난해 배출량 421만 톤CO2eq은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도'를 처음 도입한 2011년 배출량 473만 톤CO2eq과 비교하면 11%인 52만 톤CO2eq을 감축한 성과다.
2011년 대비 지난해 배출량은 중앙행정기관 45개를 제외하고 지자체(243개), 시도 교육청(17개), 공공기관(287개), 지방공사·공단(135개), 국·공립대학(36개), 국립대학병원(11개) 6개 기관 유형에서 모두 감소했다.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감축률은 평균 감축률 19.6%를 상회하는 반면 중앙행정기관, 시도 교육청, 지방공사·공단, 국·공립대학, 국립대학병원은 감축률은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감축성과가 우수한 중앙행정기관은 중소벤처기업부(10,000톤 미만)와 환경부(10,000톤 이상), 지자체는 충남 서천군과 인천광역시, 공공기관은 한국발명진흥회와 한국조폐공사, 지방공사·공단은 울산시설공단, 국공립대학교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등이다.
온실가스 감축수단 별로는 건물 조명 소등, 냉난방 온도 준수 등의 행태개선과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 보급, 고효율기기 교체,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설치 등의 시설개선을 통해 73만 톤CO2eq을 감축했다.
또한 친환경 차량 교체를 통해 7.8만 톤CO2eq을 감축했다. 친환경차량 비율은 2011년 21%에서 지난해 40%로 증가했다.
환경부는 전체 감축량 중 행태개선을 통해 71만 톤, 시설개선으로 10만 톤을 감축한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도’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근거로 2011년 도입됐다. 중앙정부·지자체 등 7개 유형 774개 기관에 대해 환경부에서 매년 각 기관별로 기준배출량을 제시한 후 연차별 감축목표를 기준으로 이행실적을 점검한다.
환경부는 공공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현황을 알리고 지속적인 감축 노력을 촉구하기 위해 각 기관별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국가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master.gir.go.kr)‘에 31일부터 공개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