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향후 10년 후 우리나라 폭염 위험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환경부는 전국 229곳의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기상청의 기후전망 시나리오를 활용해 2021~2030년 ’폭염 위험도’를 매우 높음–높음–보통–낮음-매우 낮음 5단계로 평가한 결과를 공개했다.
폭염은 일반적으로 하루 최고기온이 33℃이상일 때를 폭염이라고 한다.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주의보가 발령된다.
평균 폭염일수는 1980년대 8.2일, 1990년대 10.8일, 2000년대 10.4일, 지난해 31.5일로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상청 기후전망 시나리오에 따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2021∼2030년 ’폭염 위험도‘는 2001∼2010년 대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폭염 위험도가 ‘매우 높음’ 지역은 19곳에서 48곳으로 ‘높음’ 지역은 50곳에서 78곳으로 증가하는 한편 ‘낮음’ 지역은 64곳에서 32곳, ‘매우 낮음’ 지역은 16곳에서 6곳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는 폭염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지난 7월 10일 ’폭염대응지원단’을 발족해 지자체의 폭염대응력 제고와 민감계층이 폭염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단기적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독거노인, 차상위계층 등 폭염에 취약한 전국 900가구와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 어르신 이용시설 전국 1,000곳을 방문해 양산, 부채 등 폭염 대응용품을 전달하고 행동요령을 안내하는 등 ‘찾아가는 현장 서비스 확대’도 추진하고 있다.
폭염 행동요령에는 더운 시간대 휴식하기, 시원한 옷을 입고 양산 쓰기, 물을 자주 마시기, 식중독 예방하기, 주변 사람 건강 살피기 등이다.
배연진 환경부 신기후체제대응팀장은 “지자체별 다양한 여건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지원으로 폭염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고 폭염에 대해 국민들의 인식도 높일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홍보도 병행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