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이정옥 신임 여성가족부 장관은 9일 취임사를 통해 정책 조정자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장관으로서 다양한 차원의 총괄 조정의 임무를 감당하는 한편 무엇보다 국민과 소통하며 모든 국민이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헌신하는 자세로 임하겠다"고 말했다.
여성가족부는 세 가지 이유로 다른 부처와 다르다고 한 이 장관은 "다른 부처가 기능적 차원으로 명명된 데 비해 여성가족부는 대상으로 호명되는 부처"라고 말했다.
그녀는 "부처의 명칭이 대상으로 명명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대상의 문제가 생기면 바로 여성가족부를 떠올리게 된다"며 "항상 손을 내밀어 주어야 하는 부처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여성가족부는 기능을 담당하는 타 부서와의 협력과 공조가 필수적"이라며 "여성가족부 직원 여러분은 누구보다 업무의 설명책임, 소통, 총괄 조정의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여성가족부의 업무는 다차원적이며 복합적이다. 다양한 가족에 대한 지원, 성희롱·성폭력 피해자 보호와 가해자 처벌 강화, 성평등 문화와 가치 확산 정책 추진체계 마련이라는 복합성과 다차원성을 포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 상호간에 다름을 인정하고 공존을 모색하는 열린 공동체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돌봄이 존중받고 다양한 가족들이 어울리는 포용사회를 만들겠다"고 언급했다.
이 장관은 "한부모, 다문화가족 등 취약 가족에 대한 복지 차원의 지원을 확대하고 자기 돌봄은 물론 상호 돌봄과 사회 돌봄까지 모든 영역에서 돌봄이 선 순환하는 협동 공동체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청소년이 행복하게 꿈을 키울 수 있도록 청소년이 주인이 되는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청소년활동 지원 제도를 전면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국민적 공감대를 얻는 진정한 성평등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성차별 구조와 문화를 개선하겠다"며 "생애주기별로 양성평등 교육을 체계화하고 사회 각 영역에서의 성평등 실현을 위한 국가 성평등 지수를 전면 개편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청년층에서 나타나고 있는 성별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청년세대가 경험한 성차별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고 청년들이 주도하고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을 펼쳐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또 "우리 사회의 여성들이 자신의 역량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성평등한 일터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 장관은 "여성 인권과 평화의 가치가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여성폭력방지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여성폭력방지위원회를 운영해 정책 대응을 체계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올해 12월에 특수법인으로 출범하는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을 중심으로 등 여성폭력 피해자 보호 및 지원을 위한 든든한 종합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정책구상을 밝혔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관련해 이 장관은 "2020년은 유엔 안보리결의 1325호 채택 20주년이자, 북경 여성대회 25주년,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SDGs)목표가 설정된 지 5년이 겹쳐지는 특별한 해"라며 "이 국면에서 여성 인권유린의 역사적 진실이 전 세계에 뚜렷이 기억될 수 있도록 기념사업을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정옥 장관은 "저는 평소 ‘더디 가더라도 함께 간다’를 늘 가슴에 새겨왔다"며 "국민 모두가 행복하고 평등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여성가족부 직원 여러분께선 따뜻한 가족애와 든든한 동지애로 함께 힘을 합쳐 주시기 바란다. 아울러 국민여러분께서도 작지만 큰 부처인 여성가족부에 아낌없는 성원을 보내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