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지난 20년간 남자흡연율이 절반으로 감소하고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남성의 비만 유병률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본부는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및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성인 남성의 현재흡연율은 지난해 36.7%로 국민건강영양조사가 도입된 1998년 66.3%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여성은 1998년 6.5%에서 지난해 7.5%로 다소 증가했다.
비만 유병률이 남자는 1998년 25.1%에서 지난해 42.8%로 크게 증가한 반면 여자는 같은 기간 26.2%에서 25.5%로 별 차이가 없었다. 고혈압 유병률이 남자는 지난 20년간 32.4%에서 33.2%로 비슷했지만 여자는 26.8%에서 23.1%로 소폭 감소했다.
동물성 식품 섭취가 상대적으로 늘고 식물성 식품 섭취가 감소하면서 지방 섭취량은 1998년 40.1g에서 지난해 49.5g로 증가했고 나트륨 섭취량은 4,586mg에서 3,244mg로 감소했다.
가정 실내 간접흡연노출률은 2005년 18.5%였으나 5% 미만으로 떨어졌고 직장 실내와 공공장소 실내 간접흡연 노출률도 지속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각각 11.5%, 16.9%로 개선이 더 필요했다.
또한 월간 음주율은 남성은 2005년 55.3%에서 지난해 50.8%로 감소한 반면 여성은 17.2%에서 지난해 26.9%로 높아졌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2005년 남자 7.3%, 여자 8.4%에 비해 지난해 각각 20.9%, 21.4%로 모두 크게 증가했다. 반면 당뇨병 유병률은 남자는 10.5%에서 12.9%, 여자는 7.6%에서 7.9%로 모두 큰 변화가 없었다.
아침식사 결식률은 1998년 11.1%에서 2018년 28.9%로 증가했다. 최근 1년 내 식이보충제 복용 경험이 있는 사람도 2005년 4명 중 1명(25.8%)이었으나 지난해 2명 중 1명(49.8%)으로 증가했다.
이와 함께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의 현재흡연율은 각각 9.3%, 3.8로 2005년 14.3%, 8.9%에 비해 감소했지만 2016년 2.7%로 내려가던 흡연률이 2017년부터 증가세를 보였다. 한 달 내 액상형 전자담배를 사용했다는 중고등학생은 3.2%(남학생 4.7%, 여학생 1.5%), 궐련형 전자담배는 2.6%였다(남학생 4.0%, 여학생 1.2%).
‘한 달 내 음주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중고등학교 남학생은 16.9%, 여학생은 13.0%로 2013년 이후 비슷한 수준이다.
주 5일 하루 60분 이상 신체활동을 실천한 남학생은 21.5%, 여학생은 7.3%로 2009년 남녀 각각 15.7%, 5.4%에 비해 증가했으나 여전히 많은 학생들의 신체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패스트푸드 섭취율(주 3회 이상, 25.5%), 탄산음료 섭취율(주 3회 이상, 37.0%)은 증가하고 과일 섭취율(하루 1회 이상, 20.5%)은 감소하는 등 식생활 지표는 모두 나빠졌다.
교육부 조명연 학생건강정책과장은 “학교에서의 꾸준한 예방교육과 생활지도가 강화돼 학생들의 건강행태가 조금씩 나아지고 있지만 운동실천이나 식습관과 같은 생활습관은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