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선아 기자] 민통선 인근 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계속해 발생함에 따라 긴급대책이 강화된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강화된 긴급대책을 28일 발표했다.
먼저 접경지역의 바이러스 확산 가능성에 대비, 멧돼지 남하와 동진을 차단할 수 있는 광역 울타리를 파주부터 고성까지 동서를 횡단해 구축하기로 했다.
현재까지는 감염 개체를 발생지점에 고립시키기 위해 반경 3킬로미터 내외의 국지적 울타리를 2단으로 설치했다.
광역 울타리는 접경지역을 4개 권역으로 나눠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파주·연천’, ‘철원 동부’ 권역과 그 사이 ‘철원 서부’ 권역 3개 권역은 늦어도 11월 중순까지 우선 설치할 계획이다. 이후 나머지 ‘강원 동북부(화천·양구·인제·고성)’ 권역도 설치에 들어갈 계획이다.
광역 울타리는 임진강, 한탄강과 간선도로 등 지형지물과 도로변의 야생동물 유도 울타리 등을 최대한 활용해 시설물 설치는 최소화·가속화하면서 멧돼지 이동은 효과적으로 차단할 계획이다.
또한 그동안 멧돼지 총기포획이 금지됐던 포천, 양주, 동두천, 고양, 화천 완충지역 5개 시·군의 경우 28일부터 멧돼지를 남에서 북으로 몰아가는 방식으로 총기포획을 허용한다. 완충지역 내 총기포획은 남쪽에 있는 양돈농가 주변부터 시작해 북쪽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멧돼지 이동 유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준 사격, 미끼유인 방식, 수렵견 투입 최소화 등을 적용하고 엽사나 차량 등 투입인력·장비에 대한 소독에도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오는 3일부터는 경계지역 북단에 위치하고 있는 1차 차단지역을 완충지역 북단으로 끌어 올려 발생지역과 완충지역 사이에 저지선을 확보한 후 완충지역의 총기포획 활동을 보다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강화, 김포, 파주, 연천, 철원 발생지역에 대해서는 감염지점 주변의 멧돼지 이동을 저지하는 2차 울타리 설치를 최대한 앞당겨 6일까지 완료한 후 제한적인 총기포획을 추진한다.
이외에도 환경부와 산림청이 합동으로 바이러스 확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멧돼지 폐사체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정처리하기 위해 3주간 매일 총 440명 규모의 정밀수색팀을 발생지역에 집중 투입해 멧돼지 폐사체를 촘촘하게 수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