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11월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에 있는 작은 무인도 소동도로 떠나볼까~
해양수산부는 11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소동도를 선정했다.
소동도는 총면적 약 2천㎡의 작은 무인도로 섬 전체가 단단한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예전부터 득량만을 넘나드는 거친 파도로부터 마을을 지켜주는 천연 방파제 역할을 해 왔다. 현재는 섬 우측으로 길게 이어진 방파제가 포구 역할까지 하고 있다.
소동도는 작을 소(小), 등잔 등(燈)자를 써서 ‘소등섬’으로도 불린다. 이는 호롱에서 발하는 작은 불빛을 의미한다. 마을 주민들은 먼 바다에 고기잡이를 나간 가족들을 위해 호롱불을 켜놓고 무사귀환을 빌었다고 전해진다.
섬 정상에는 노송 10여 그루가 있는데 고기잡이를 나선 어민들은 이 노송을 보고 무사히 돌아왔다며 한숨을 돌렸다고 한다. 어민들은 이 섬을 신성하게 여겨 500여 년 전부터 마을의 안녕, 평안, 풍어를 기원하며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이 외에도 섬의 생김새가 솥뚜껑을 닮아 ‘소부등섬’, ‘소동섬’으로 불렸다거나 섬의 모양이 소의 등과 비슷해 ‘소등섬’으로 불리게 됐다는 이야기도 있다.
소동도는 하루 두 번 바닷물이 밀려나는 썰물 때마다 인근 남포마을과 약 400m의 갯길로 이어진다. 남포마을에서는 갯벌에서 채취한 특산물 ‘굴’을 맛볼 수 있다. 이 마을에서는 굴이 꿀처럼 달다고 해서 ‘꿀’이라고 부른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