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내년 하반기부터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는 방과 후 돌봄을 위해 관련 시설을 일일이 방문하지 않고도 정부대표포털 ‘정부24’를 통해 돌봄시설 검색과 신청까지 한 번에 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1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5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온종일 돌봄 원스톱 서비스 제공 추진계획’을 확정했다.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돌봄 서비스는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학교 내 돌봄 ‘초등돌봄교실’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지역 기반 돌봄 ‘다함께돌봄’과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지역아동센터’, 여성가족부에서 운영하는 청소년 활동지원을 위한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다.
올해 6월 기준 초등돌봄교실은 6천개교 29만명(73%), 다함께돌봄과 지역아동센터는 4천개 10만명(25%), 방과후아카데미는 3백개 5천명(2%)으로 총 1만개 시설에 39만명이 이용 중이다.
하지만 이러한 돌봄서비스가 각 부처별로 서비스를 따로 제공하고 있고 온라인 신청도 안 돼 이용자들이 직접 돌봄시설을 찾아가 이용 신청을 해야 했다.
이에 정부는 부처별로 분산돼 있던 돌봄정보를 ‘정부24’로 통합해 한 번에 PC나 모바일로 정보검색이 가능하도록 했다.
희망지역과 아이 나이, 돌봄희망 시간대를 입력하면 조건에 맞는 돌봄시설을 볼 수 있다. 지도보기를 누르면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역 내 다른 돌봄시설 현황도 볼 수 있다. 돌봄시설별로 신청현황을 볼 수 있어 이미 마감된 곳과 신청이 가능한 곳을 알 수 있다.
정부는 온종일 돌봄 원스톱 서비스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내년 말까지 단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내년 6월부터 복지부 ‘다함께돌봄’과 ‘지역아동센터’, 여가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를 우선 시범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교육부 ‘초등돌봄교실’은 내년 12월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학부모는 PC나 모바일 앱을 통해 ‘정부24’에 접속한 후 온종일 돌봄 원스톱 서비스 메뉴를 누르면 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초등돌봄교실을 확충하고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마음 놓고 아이를 맡길 수 있는 돌봄 환경을 만들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