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여성가족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1차 청소년정책위원회(이하 위원회)를 열고 ‘학교 밖 청소년 지원 강화대책’ 등 주요 청소년정책에 대해 심의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학업중단 위기학생 지원 강화를 위해 학업중단숙려제 매뉴얼을 개선하고 종사자 상담역량을 증진하는 등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의 프로그램 수준을 높이는 방안이 마련된다.
또한 초⸳중 의무교육 과정의 학업중단 청소년은 개인정보제공 동의 절차를 생략하고 연계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해 학업중단 학생 정보연계 자동화 시스템을 마련할 예정이다.
‘학교 밖 청소년이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지원체계’도 구축된다. 학교 밖 청소년의 접근성 강화를 위해 전국 시·군·구까지 지원센터를 올해 214개소에서 2022년 243개소로 확충할 계획이다. 센터 내 전용공간도 현재 52개소에서 72개소로 설치해 학습, 놀이, 또래와의 소통공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학교밖 청소년의 건강을 지원하기 위해 내년부터 무료 급식을 전면 실시하고 도서·벽지 지역에 찾아가는 출장 건강검진을 확대한다. 또한 우울과 불안감이 높은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사례관리를 강화하고 청소년 동반자의 찾아가는 상담서비스를 확대한다. 학습공간 설치, 학습지도, 참고서 제공 등을 지원하고 다양한 직업 체험기회 제공 등 맞춤형 직업훈련프로그램도 내실화해 나갈 예정이다.
이정옥 여가부 장관은 “학교 밖 청소년이 창의와 도전정신을 가지고 마음껏 꿈과 끼를 펼칠 수 있도록 학습부터 직업훈련, 건강관리까지 국가에서 책임지고 지원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