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노승희 기자] 유해물질에 오염됐을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에 집에서는 물론 일반 세탁소에서도 꺼려하던 작업복을 세탁할 수 있는 ‘산업단지 내 공동세탁소’가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와 고용노동부는 내년 6일부터 작업복 공동세탁소 설치를 원하는 산업단지를 공개 모집한다고 31일 밝혔다.
작업복 공동세탁소는 분진이나 유해물질이 묻은 작업복을 손수 세탁해야 하는 중소영세사업장 근로자들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 시설이다.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은 대부분 자체적으로 작업복 세탁 시설을 갖추거나 전담 업체를 지정해 세탁을 맡기지만 중소영세기업의 경우 근로자가 개별적으로 세탁시설을 찾거나 집으로 가져가야해 불편이 많았다.
이번 작업복 공동세탁소 신청대상은 산재보상보험에 가입한 산업단지관리주체나 입주 사업장, 사업주단체다. 사업대상지로 선정되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판단하는 공동세탁소 설치비용의 50%, 최대 10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한편, 작업복 공동세탁소는 올해 2월부터 경상남도가 김해시와 김해상공회의소, 경영·노동자 단체 등과 함께 근로자들의 열악한 작업복 세탁 환경에 대한 공감대를 이루고 지난 10월부터 전국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재영 행안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기관 간 협업을 통해 지역에서 시작한 작업복 공동세탁소 사업이 전국으로 확산돼 중소영세기업 근로자들의 근심을 덜 수 있게 됐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