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지역이 기획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의 대학 중심 지역혁신 지원 사업이 추진된다.
교육부는 20일 이러한 내용의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기본계획 주요사항을 발표했다.
이번 지역혁신은 저출산, 고령화, 인구의 수도권 집중 등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지방대학의 대대적 활로 개척 사업’이다.
먼저 지방대학과 각 지역이 긴밀하게 협업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을 구축한다. 기존 대학재정지원사업은 개별 대학의 역량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고 효과가 부수적으로 지역에 확산되기를 기대해 왔다.
이번 사업은 지자체가 대학, 기업 등 지역혁신주체들과 함께 지역의 여건과 현안을 십분 반영한 ‘지역혁신 핵심분야’를 발굴하고 대학이 주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과제를 추진하는 것을 지원한다.
또한 대학과 연계된 다양한 지역혁신 사업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 사업 간 중복을 최소화하고 공백을 보완하기로 했다.
현재 국가균형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벤처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사업 간 연계 방안을 다각도로 협의 중이다.
유은혜 부총리는 “대학의 역할을 지역과의 관계에서 새롭게 정립하는 이번 사업은 앞으로의 고등교육 정책방향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