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수돗물 사고에 전문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섬진강 4개소에 유역수도지원센터가 문을 연다.
환경부는 22일 오후 과천시에 위치한 한국수자원공사 한강권역본부 대회의실에서 ‘유역수도지원센터 출범 및 한강 유역수도지원센터 개소식’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유역수도지원센터는 지난해 5월 인천 붉은수돗물 사태로 불거진 지방 상수도시설 관리 전반의 문제를 개선하고 수돗물 사고에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섬진강 유역마다 1개소씩 총 4개소가 설치된다.
한강 센터는 한국수자원공사 한강권역본부(과천시 교육원로), 낙동강 센터는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유역본부(대구광역시 중구), 금강 센터는 한국수자원공사 금강유역본부(전주시 덕진구), 영산강·섬진강 센터는 한국수자원공사 영섬유역본부(광주광역시 서구)에 각각 설립된다.
센터는 이번 출범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지방상수도 사고대응과 지자체 기술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피해규모가 100세대 이상인 수돗물 사고가 발생하면 지자체의 수도사업본부장은 상황판단회의를 소집한 후 비상상황실을 운영해 필요 시 유역(지방)환경청의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피해규모가 300세대 이상 규모로 확대되면 지자체 장이 상황판단회의를 소집한 후 비상대책본부를 운영한다. 지자체는 필요 시 관할 유역(지방)환경청에 현장수습조정관 파견을 요청하거나 유역(지방)환경청장이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환경부 장관에게 현장수습조정관 파견을 요청할 수 있다.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센터 출범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수돗물 사고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인력과 기술력 등이 부족한 시군을 대상으로 전문기술을 지원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깨끗한 수돗물을 제공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