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권역 및 지역별 책임의료기관 지정을 추진한다.
서울⸱경기⸱충북⸱대전 등 17개 권역(시도)과 70개 지역(중진료권) 중 올해는 14개 권역과 15개 지역부터 국립대병원과 지방의료원을 책임의료기관으로 지정한다.
권역책임의료기관은 권역 내 필수의료 협력체계를 총괄·조정하고 지역의료 역량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올해 12개소 국립대병원을 지정해 14개 권역에서 사업을 수행한다. 1개소 당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 사업비로 총 4억 원이 지원된다.
권역별로는 서울은 서울대병원, 경기는 분당서울대병원, 충북은 충북대병원, 대전·충남은 충남대병원, 광주·전남은 전남대병원 등이 지정됐다. 아직 미지정된 세종, 울산, 인천 권역은 내년부터 인근 국립대병원을 지정하거나 사립대병원을 공모할 계획이다.
지역책임의료기관은 지역 내 필수의료 문제를 발굴하고 기관 간 협력을 연계해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올해 70개 지역 중에서 15개 지역의 지방의료원을 공모해 공공병원부터 지정한다. 1개소 당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 사업비 총 2억4000만 원이 지원된다.
지원자격은 종합병원급 지방의료원 중에서 내과, 외과, 산부인과, 응급의학과 등 필수의료 관련 진료과목 등의 요건을 갖춰야 한다. 2월 17일부터 3월 16일까지 지방의료원이 제출한 사업계획서, 병원 역량, 시도의 지원계획 등을 평가해 3월 말 선정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나머지 지역에 단계적으로 공공병원을 추가 공모하고 공공병원이 없는 지역은 공익적인 민간병원을 공모할 계획이다.
복지부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은 “책임의료기관이 모든 필수의료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지역 내에서 필수의료 협력모형을 만들고 지역보건의료기관 간 협력을 활성화하는 중심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