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아카데미 영화상 4관왕에 빛나는 영화 '기생충'의 제작진 및 출연진을 청와대로 초청한 자리에서 "모두 앉아서 편하게 대화를 나눴으면 한다. 여러분, 축하한다. 아마 이 축하 인사를 수도 없이 들었을 텐데"라면서 "대통령의 축하 인사도 특별하지 않다. 우리 영화 ‘기생충’이 세계 최고의 영화제라는 아카데미영화제에서 최고의 영예를 얻고, 그리고 또 그 영예의 주인공이 되신 봉준호 감독님과 송강호 배우님을 비롯한 출연진 여러분들, 또 스텝진 여러분, 제작사 모두의 성취에 정말 진심으로 축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봉준호 감독과 한진원 작가 등 제작진과 제작사 곽신애 바른손이앤에이 대표, 송강호·이선균·조여정·박소담·최우식·이정은·장혜진·박명훈 배우 등 주요 출연진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그리고 무척 자랑스럽다. 우리 영화 100년사에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되었다는 것도 아주 자랑스럽고, 또 오스카의 역사에서도 새로운 역사를 쓰게 만들었다라는 사실이 아주 자랑스럽다"고 극찬했다.
특히 "오스카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고 최고 영화제이지만 우리 봉준호 감독님이 아주 핵심을 찔렀다시피 로컬 영화제라는 비판이 있어왔다"며 "그러나 우리 '기생충', 우리 영화가 워낙 빼어나고 또 우리 봉준호 감독님의 역량이 워낙 탁월했기 때문에 정말 비영어권 영화라는 그 장벽을 무너뜨리고 최고의 영화, 최고의 감독으로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는 점이 아주 특별히 자랑스럽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그 자랑스러움이 우리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국민에게 아주 큰 자부심이 됐고 아주 많은 용기를 줬다"며 감사 인사를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기생충’ 영화를 통해서 우리의 문화예술이 어떤 특정한 어느 일부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두루 우수하고 세계적이다라는 사실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고 생각한다"며 "이미 우리 BTS를 비롯해서 케이팝, 전세계 사람들이 경탄을 하고 있고, 또 그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한국의 드라마들이 많은 나라에서 많은 세계인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고 약간 방향을 바꿔서 보면 아주 세계 유수의 국제음악 콩쿠르 이런 데에서도 가장 많은 입상자를 배출한 나라 중 하나가 바로 우리 한국이다. 이렇게 한국은 일부 분야가 아니라 정말로 우리 문화 전반에서 이미 변방의 문화가 아니라 세계 중심부에 진입했고 인정받는 그런 세계적인 문화가 되었다라는 그런 특별한 어떤 자랑스러움을 가지게 된다"고 언급했다.
또 "물론 아직까지 문화 예술 산업 분야가 다 저변이 아주 풍부하다거나 두텁다거나 그렇게 말할 순 없을 것"이라며 "문화 예술계도 기생충 영화가 보여준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고 특히 영화 제작 현장에서나 또는 영화의 제작, 배급, 상영, 이런 유통구조에 있어서도 여전히 불평등한 요소들이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기생충’ 보여준 그 사회의식에 대해서 아주 깊이 공감을 합니다.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고 전세계적인 문제이긴 합니다만 불평등이 하도 견고해져서 마치 새로운 계급처럼 느껴질 정도가 되었다"며 "그런 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을 우리 최고의 국정목표로 삼고 있는데, 그게 또 반대도 많이 있기도 하고 또 속시원하게 금방금방 이렇게 성과가 나타나지 않아서 매우 애가 탄다"고 밝혔다.
아울러 "영화 산업에 있어서도 똑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영화 제작 현장에서는 표준근로(표준근로계약) 시간제, 주52시간 이런 것이 지켜지도록, 그 점에서도 우리 봉준호 감독님과 제작사가 솔선수범해서 그것을 준수해 주셨는데 그 점에 경의를 표한다"며 "그런 선한 의지로서가 아니라 그것이 제도화되도록 정부가 노력하고, 뿐만 아니라 영화 제작 작업이 늘 단속적이기 때문에 일이 없는 기간 동안에 영화 산업에 종사하는 분들의 복지가 또 충분히 보장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영화 유통구조에 있어서도 말하자면 스크린 독과점 이런 것을 막을 수 있는 스크린 상한제 이런 것이 빨리 도입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한마디로 영화 산업의 융성을 위해서 영화 아카데미에 대한 지원을 대폭 늘린다거나 하여튼 확실히 지원하겠다. 그러나 간섭은 절대 없을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정말, 아마 영화 다 끝나고 난 뒤에도 여기 올까지 정말 힘든 대장정이었을 텐데 오늘 하루는 마음껏 즐거운 시간되시기 바라고 또 축하하는 시간되시기 바란다"며 "오찬 메뉴는 전문적인 분들이 준비한 메뉴 외에도 제 아내가 봉 감독님을 비롯해서 여러분들에게 헌정하는 '짜파구리'를 맛보기로 포함되어 있다"고 소개했다.
봉준호 감독은 답사에서 "오늘 이 자리에 이렇게 모이게 돼서 너무 영광스럽고 감사드린다"면서 "일단 지금 바로 옆에서 대통령님 길게 말씀하시는 것을 보면서 지금 저는 충격의 도가니에 빠졌다"고 말했다.
이어 "저나 송강호 선배님이나 최우식 씨가 스피치라면 다 한 스피치한다고 자부하는 사람들인데, 지금 작품에 대한 축하에서부터 한국 대중문화를 거쳐 영화 산업 전반의 여러 가지 언급을 거쳐서 짜파구리에 이르기까지 말씀하신 내용이 시나리오 두 페이지 정도 분량"이라고 했다.
특히 "작년 깐느에서부터 한국과 프랑스와 여러나라 개봉을 거쳐서 아카데미, 오스카를 거쳐서 여기까지 오게 된 것"이라며 "이렇게 영광스럽게 청와대에서 대통령 내외분과 함께 좋은 자리에서 이렇게 대장정을 마무리할 수 있게 되어서 너무 기쁘다"고 말했다.
배우 송강호씨는 "두 분의 멋진 말씀을 듣다보니까 저도 말씀을 잘 드려야 된다는 강박이 생기는데"라면서 "이 음식이라는 것이 특히 우리 민족에게는 참 떼려야 뗄 수 없는, 그냥 먹거리가 아니다. "따뜻한 음식을 먹으면서 이렇게 대장정의 마무리를 짓는다라는 것이 특별하지 않나"라고 감사함을 표했다.
이어 "봉 감독께서도 지금 말씀하셨지만 우리 모두가 이렇게 모인 게 참 오래간만이고, 오늘이 또 마지막"이라며 "공식행사가. 2년의 긴 마지막 행사이고 해서 참으로 뜻깊은 자리가 자연스럽게 된 것 같아 가지고 더 뭉클한 어떤 감동이 있다"며 대통령 내외분께 청와대 초청에 대한 감사를 표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