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서울시가 개강을 앞두고 국내에 입국 예정인 중국 입국 유학생들을 입국단계부터 전방위로 지원한다.
서울시는 21일 오전 서울시 기획상황실에서 교육부, 주요대학, 자치구와 ‘코로나19’ 관련 중국입국 유학생 보호·지원방안’에 대한 대책회의를 가졌다. 정보공유부터 임시거주공간 지원, 1대 1 건강관리 모니터링 등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모든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앞서 서울시는 25개 자치구, 중국 유학생 입국이 예정돼 있는 49개 대학교와 ‘서울시 중국입국 유학생 공동대응단’을 지난 14일 구성해 유학생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다.
현재 서울 소재 대학교를 다니는 중국인 유학생은 68개 대학교 3만8,330명이다. 사이버대학교를 제외하면 49개 대학교, 3만4,267명이다. 앞으로 입국 예정인 중국 유학생은 1만7천여 명으로 예상된다.
교육부는 중국에서 입국하는 유학생이 ‘자가진단 앱’에 입력한 정보를 서울시, 대학교와 공유하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유학생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던 지자체와 대학교가 빠르게 상황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각 대학교는 중국에서 유학생이 입국할 때 공항에서 학교까지 학교버스나 콜밴 등을 이용하도록 운영하고 있다. 자체 운영이 어려운 대학은 자치구가 셔틀버스 운영비를 지원한다.
대학교는 중국입국 유학생을 기숙사, 대학 유휴시설 등에 우선 수용해 전담 관리한다.
서울시와 자치구는 임시 거주공간을 확보해 지원한다. 서울시는 일단 서초구에 있는 서울시인재개발원을 우선 내주고 추가로 확보하기로 했다. 임시 거주공간은 입국 시 의심증상자 중 음성 판정을 받은 유학생, 확진자와 접촉한 것으로 판명돼 자가격리 통보를 받았으나 갈 곳이 없는 유학생을 우선 지원한다. 임시 거주공간 상시 방역은 물론 식사, 필요 물품도 지원한다.
유학생이 부동산 신규계약을 거부당하거나 기존 계약을 파기 당하는 등 불가피한 사유로 거주지 확보가 어렵거나 기숙사 입주 예정자 중 교육부가 권고한 1인 1실 원칙 준수로 대학이 공간 마련을 못한 경우를 대비해 예비 임시 거주공간도 확보할 계획이다.
기숙사 밖에 거주하는 유학생의 경우 대학의 모니터 요원이 1대 1로 1일 2회 이상 건강상태를 전화로 직접 모니터링한다. 또한 유학생이 모바일 자가진단앱을 통해 스스로 건강상태를 입력하도록 할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시는 교육부, 대학교, 자치구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중국입국 유학생들의 입국에 따른 감염병 확산을 최대한 예방해 지역주민들의 불안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