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유진 기자] 여성가족부는 27일 일본군의 위안부 동원과 위안소 운영 실태를 보여주는 위안부 관련 명부(名簿, 명단)의 최신 연구성과를 모은 ‘덧칠된 기록에서 찾은 이름들’을 발간했다.
명부는 기존에 발굴된 자료들과 대조하면서 여성들이 일본군 ‘위안부’에 구조적으로 동원된 방식을 밝힐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연구서는 전쟁 당시 일본군에 고용된 것으로 기록된 여성 고용원과 간호부 명단, 조선인들이 전쟁 후 고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현지에서 작성한 명단 등 중국, 인도네시아, 타이완 등에서 발견된 다양한 명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사료의 의미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일본군이 작성한 '유수명부(留守名簿)', 타이완척식주식회사가 ‘위안소’ 운영 과정에서 작성한 ‘위안부’ 관련 명부, 인도네시아 팔렘방의 조선인들이 기록한 '팔렘방조선인회명부', 중국 진화 지역에서 조선인동향회가 쓴 '진화계림회명부' 등의 자료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실상을 추적했다. 특히 유수명부는 일제 말기 일본 육군 소속의 군인군속을 원칙적으로 기록하게 돼 있는 가장 기본적인 명부다.
일본군이 ‘위안부’를 동원하는 과정에서 작성한 명부는 대부분 없애버렸는데 그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빠졌거나 간호부 등으로 ‘위안부’의 존재를 감춘 명부, 그리고 연합군이나 조선인이 전쟁 후 귀환을 위해 스스로 작성한 명부 등이 남아있다.
또한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일본군 ‘위안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명부 자료들이 계속해서 발굴되고 있어 구체적인 동원 실태를 연구하는데 연구서가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황윤정 여가부 권익증진국장은 “그동안 일본군에 의해 작성된 공문서 등으로 일본군 ‘위안부’ 실태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이름과 나이, 출신지 등을 알 수 있는 자료는 드물었다. 연구서는 다양한 명부 속에서 잊혀진 ‘위안부’ 피해자들의 구체적인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