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예방을 위해 2월 26일 기준 전국 공공도서관의 96.6%가 휴관 중이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지역 주민들이 많이 모이는 지하철역이나 버스터미널 등에 ‘스마트도서관’ 57개관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스마트도서관'은 자동화기기에 도서를 비치해 이용자가 직접 대출하고 반납하는 시스템이다. 국민들은 공공도서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스마트도서관’에서 읽고 싶은 책을 직접 대출하거나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해 예약해 두었다가 찾아갈 수 있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과 전국 공공도서관 누리집 내 ‘전자도서관’에서 전자도서, 오디오북, 전자잡지 등 다양한 디지털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국가전자도서관에서 국립중앙도서관, 국방전자도서관, 국회도서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법원도서관, 한국과학기술원도서관, 한국과학기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소장하고 있는 원문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할 수 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공공도서관 휴관 동안 국민들이 전국 스마트도서관과 전자도서관을 이용해 불편을 해소할 수 있기를 바란다. 도서관별 서비스 내용은 각 도서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