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평소 책 읽기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성인은 ‘책 이외의 다른 콘텐츠 이용’을 가장 많이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만 19세 이상 성인 6천 명과 초등학생 4학년 이상, 중·고등학생 3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조사 결과, 지난 1년간 성인의 종이책 연간 독서율은 52.1%, 독서량은 6.1권으로 2017년 비해 각각 7.8%p, 2.2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종이책의 연간 독서량은 성인 6.1권, 초·중·고교 학생 32.4권으로 2017년 대비 성인 2.2권 감소, 학생은 3.8권 증가했다. 전자책 독서량은 성인 1.2권, 학생 5.6권으로 2017년 대비 성인 0.1권 증가, 학생은 0.1권 감소했다.
지난해 처음 조사한 오디오북 독서율은 성인 3.5%, 초등학생 30.9%·중학생 11.6%·고등학생 13.9%로 평균 18.7%로 조사됐다.
지난 2년 사이 종이책과 전자책의 연령대별 독서율은 대학생 2.7%p, 30대는 2.0%p 증가한 반면 50대 8.7%p, 60대 이상에서 15.8%p 하락했다.
성인의 평일 매체별 이용시간은 종이책 25분, 인터넷신문 14.9분, 종이신문 7.4분, 웹툰 7분, 전자책 6.8분, 종이잡지 4.7분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평일 매체별 이용시간은 종이책 69.5분, 웹툰 46.3분, 만화책 40.1분, 전자책 20분, 인터넷신문 15.4분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국민들이 독서하기 어려운 이유로 제일 많이 꼽은 것은 성인의 경우 ‘책 이외의 다른 콘텐츠 이용’(29.1%)이었다. 이는 2017년까지 가장 많은 사람들이 꼽았던 ‘시간이 없어서’를 밀어낸 결과다.
반면 학생의 주된 독서 장애 요인은 2017년도와 동일하게 ‘학교나 학원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왔다.
또한 성인의 65.5%는 ‘책 읽기가 사회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반면 6.1%는 '도움이 안 된다'고 답했다. 학생은 76.7%가 학교생활에 ‘도움이 된다’, 5.5%는 '도움이 안 된다'고 답했다.
'도서관을 한 번이라도 이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성인은 23.9%, '학교도서관을 제외한 학교 밖 도서관을 이용한 적이 있다'는 학생은 60.8%로 2017년 대비 성인은 1.7%p 증가한 반면 학생은 2.2%p 감소했다.
문체부 측은 “이번 조사 결과는 매체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는 상황에서 1주일 1회 이상 책을 읽는 독서 인구를 늘리는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며 “특히 비독자 편입 폭이 큰 고령층, 저소득층, 소도시 주민을 위한 맞춤형 지원과 전자책, 오디오북 등 디지털 환경에 최적화된 독서기반 마련이 시급함을 보여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