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코로나19 확산이 극장가에 미친 파장이 크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2월 전체 관객 수는 전년 대비 66.9%(1490만 명) 감소한 737만 명을 기록했다. 이는 2005년 이후 2월 전체 관객 수로는 최저치다.
한국영화와 외국영화도 2005년 이후 2월 관객 수 모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영화 관객 수는 전년 대비 71.3% (1229만 명) 줄어든 494만 명, 외국영화 관객 수는 전년 대비 51.9%(262만 명) 감소한 243만 명이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일일 관객 수가 큰 폭으로 하락하기 시작했다. 지난 3월 9일 일일 전체 관객 수는 5만1575명으로 2005년 이후 최저 일일 관객 수를 나타냈다.
주말 관객 수도 최저치를 기록했다. 2008년 이후 주말 전체 관객 수 최저치는 올해 2월 넷째 주말(2월 28일~3월 1일)로 24만 5383명이었다.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와 비교하면 신종플루 첫 사망자 발생 이후 신종플루가 극장가에 미친 직접적인 영향이 수치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메르스의 경우 첫 사망자 발생 다음날인 2015년 6월 2일부터 10일까지 9일간 큰 폭의 관객 수 감소세를 나타낸 것이 전부였다.
반면 코로나19는 확진자가 방문한 극장이 휴업을 시작한 다음날인 2월 1일부터 보고서 작성 시점인 3월 9일까지 38일간 극장 관객 수 감소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코로나19는 신종플루, 메르스 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극장가에 큰 타격을 입혔다.
2월 전체 흥행 영화는 142만 명(누적 143만 명)의 관객을 모은 정치 코미디 <정직한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 <클로젯>은 126만 명의 관객을 동원해 전체 순위 2위에, <남산의 부장들>은 87만 명(누적 475만 명)으로 3위에 자리했다.
코믹 액션영화 <히트맨>은 2월 53만 명의 관객을 동원해 전체 순위 5위에 자리했고 240만 명의 누적 관객 수를 기록하면서 손익분기점에 도달했다.
외국영화는 <작은 아씨들>이 76만 명으로 전체 순위 4위에 오른 것이 최고 성적이었다.
<정직한 후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작은 아씨들> <버즈 오브 프레이(할리 퀸의 황홀한 해방)>까지 2월 개봉작 중 여성 감독 연출작, 여성 배우 주연작 등 여성 주도의 영화가 많았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