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독도에 사는 야생생물이 2,046종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2014년부터 5년간 ‘독도 생물주권 확립을 위한 종합 생물종 목록 구축 I 단계’ 사업을 통해 독도에 사는 야생생물 2,046종의 목록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독도 생물종 목록에는 갑옷장수노벨레과에 속한 각진왕비장수노벌레, 용선충과에 속한 독도긴털용선충, 쏘렉티드해면과에 속한 독도스미노해면 등 독도에서 처음 발견돼 학계에 신종으로 인정받은 종들을 포함해 총 2,046종이 수록됐다.
섬기린초 등 식물 123종, 큰입모자반 등 해조류 387종, 디디무스 등 미세조류 40종, 버지바실루스 독도넨시스 등 미생물 64종, 풀색노린재 등 곤충 193종, 바다사자 등 포유류 5종, 황조롱이 등 조류 193종, 독도스미노해면 등 무척추동물 806종, 찰가자미 등 어류 180종, 아메바 등 원생동물 55종으로 구성됐다.
이번 독도 생물종 목록은 2015년 국립생물자원관이 발간한 ‘독도 생물종 목록집’에 수록된 1,422종에 비해 624종이 증가한 것으로 독도에서 새롭게 확인된 360종은 모두 현장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독도에 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로는 I급 매 1종, II급 물개, 물범, 올빼미 등 총 19종에 이른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독도와 주변 해역 생물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 연구를 통해 독도 생물종 목록을 현행화하고 유전체, 진화연구 등과 같은 심층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독도 생물주권 강화를 위한 든든한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