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코로나19로 영화 관객 수가 연일 바닥을 치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는 올해 3월 전체 극장 관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87.5% 감소했다고 밝혔다.
3월 전체 관객 수는 183만 명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 동월 대비 87.5%(1,284만 명) 감소한 수치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8.0%(1,114억 원) 감소한 152억 원이었다.
코로나19 여파로 올해 3월 전체 관객 수는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이 가동을 시작한 2004년 이후 3월뿐만 아니라 월별 전체 관객 수에서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영화는 전년 동월 대비 95.1%(596만 명) 감소한 31만 명, 매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95.3%(509억 원) 감소한 25억 원이었다.
외국영화는 전년 대비 81.8%(688만 명) 줄어든 152만 명을 기록했다. 이는 2005년 이후 최저 기록이었다. 매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82.7%(605억 원) 감소한 127억 원이었다.
일별 관객 수도 연일 최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3월 23일 2만6천 명까지 떨어졌던 일일 전체 관객 수는 지난 4월 6일 1만6천 명을 기록해 2004년 집계 이후 처음으로 1만 명대를 나타냈다. 이어 4월 7일에는 1만5천 명을 기록하며 2004년 집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말 관객 수 역시 3월 넷째 주말(27일~29일)에 15만 8천 명으로 떨어졌고 4월 둘째 주말(10일~12일)에는 9만 9천 명을 기록했다.
3월 전체 흥행 1위는 43만 명(누적 54만 명)을 동원한 저예산 스릴러 <인비저블맨>이었다. <인비저블맨>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경쟁작이 없었던 덕분에 2월 26일 개봉한 이후 28일 연속으로 1위를 수성하기도 했다.
전체 흥행 순위 2위는 31만 명(누적 71만 명)을 모은 <1917>이었다. 한국영화로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이 13만 명(누적 62만 명)으로 전체 흥행 순위 3위에 오른 것이 최고 성적이었다.
전체 흥행 순위 5위에 자리한 <정직한 후보>는 3월의 10만 명을 더해 153만 명의 누적 관객을 기록했다. <정직한 후보>는 코로나19 정국에서도 손익분기점(150만 명)을 넘어서는 성과를 거두며 여성 원톱 주연 영화의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코로나19가 극장가에 직격탄이 되면서 개봉편수도 줄었다. 지난 1월 한국영화 실질 개봉 편수는 14편이었는데 2월 10편, 3월 7편으로 줄었다. 개봉일로부터 일주일간의 최대 스크린 수를 기준으로 삼았을 때 500개관 이상으로 개봉한 한국영화는 1월과 2월 각각 4편과 3편이었으나 3월에는 0편이었다.
외국영화 실질 개봉작은 지난 1월 36편에서 2월과 3월에 각각 25편과 23편으로 줄었다. 스크린 500개 이상으로 개봉한 외국영화의 편수도 1월과 2월 각각 4편과 6편이었으나 3월에는 1편에 불과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OTT(Over The Top) 이용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과 달리 TV VOD를 통한 영화 소비는 3월에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렛(olleh) TV 기준 온라인상영관 박스오피스의 일별 이용건수 집계에 따르면, 3월 한 달간 총 이용건수는 130만 건으로 2019년 162만 건, 2018년 147만 건과 비교해 각각 32만 건, 17만 건 감소했다.
진흥위는 극장 개봉 신작 중심으로 빠른 소비가 이뤄지는 TV VOD의 특성상 코로나19로 인한 극장가의 위축이 파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코로나19로 2월 말 이후 예정작들이 개봉을 연기하면서 3월 TV VOD 신작 부재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