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9일 "새해 들어서 외국인 관광객이 아주 크게 늘어나는 희망찬 분위기 속에서 '2000만 관광객 시대'를 준비했던 관광업계를 생각하면 참으로 마음이 안타깝고 무겁다"며 "사회적 거리두기와 외국인 관광객 급감으로 호텔 이용률이 크게 떨어졌고, 급격한 매출 감소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코로나19 극복 고용유지 현장 간담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취업자 수가 크게 줄고 일시 휴직자가 급증하며, 가장 먼저 고용 충격의 위기를 겪은 곳도 관광업계와 숙박·음식업"이라면서 "호텔업계 노사가 가장 어려운 시기에 가장 모범적으로 함께 마음을 모았다"며 "사측은 무급휴직이나 연차휴가를 강제하지 않고 휴업으로 일자리를 보전했으며, 노조는 노동쟁의 대신 협력적 노사관계에 합의했다. 구조조정 대신 고용유지로 일자리를 함께 지키자는 결의를 다졌다"고 고용유지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일자리 위기'가 거세게 닥쳐오고 있지만, 정부는 하나의 일자리도 반드시 지키겠다는 그런 각오로 여러분과 함께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일자리 위기'가 거세게 닥쳐오고 있지만, 정부는 하나의 일자리도 반드시 지키겠다는 그런 각오로 여러분과 함께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고용조정의 위기에 놓인 관광숙박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했고, 휴업·휴직 수당의 90%까지 지원하고 있다"며 "이달에는 추가로 고용과 기업안정 대책을 마련해 고용안정에 10조원,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기업 안정에 75조원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특히 "노사가 고용유지 협약을 체결한 사업장에 대해서는 임금 감소분 일부를 지급하고, 휴업과 휴직 중에도 노동자에 대한 지원이 끊기지 않도록 '고용유지 자금 융자'와 '무급휴직 신속 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했다"며 "정규직과 마찬가지로 비정규직인 호텔 사내하청업체 직원들도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노사가 고용유지 협약을 체결한 사업장에 대해서는 임금 감소분 일부를 지급하고, 휴업과 휴직 중에도 노동자에 대한 지원이 끊기지 않도록 '고용유지 자금 융자'와 '무급휴직 신속 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했다"며 "정규직과 마찬가지로 비정규직인 호텔 사내하청업체 직원들도 혜택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 "관광 가이드, 여행사 직원, 관광버스 기사까지 관광업 종사자 모두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관광업계 전체를 살리기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는 관광업 긴급지원방안을 마련하여 총 9000억 원의 융자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세금 납부기한을 연장하고, 지자체와 협조하여 재산세도 감면하고 있다"며 "호텔 품질·안전 등급평가도 감염병 경보가 해제될 때까지 유보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극복 관광상품권' 지급과 또 음식·숙박·관광업에 대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소득공제율 확대는 소비 진작에 도움이 될 것 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외환위기 때 정리해고의 아픔 속에서 사회 안전망의 기틀을 마련했고, 글로벌 금융위기를 '일자리 나누기'로 극복했다"며 "여러분은 '코로나19'의 위기 앞에서 '일자리 지키기'라는 큰 역할을 해주셨고, 투숙객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비대면 서비스와 특급 호텔 음식을 온라인 쇼핑에서 판매하는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며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주고 계시다"고 격려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코로나 상황이 많이 진정이 되면서 정부는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을 준비를 하고 있고, 황금연휴에 이어서 5월 중에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되면 내수가 살아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상생의 힘을 보여주신 여러분께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우리가 함께 이 위기를 반드시 이겨내자는 말씀을 드린다"며 "여러분이 보여준 '연대와 상생'의 힘이 호텔업계를 넘어서 서비스업, 또 제조업 전 업종으로 확산돼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는 관광업 긴급지원방안을 마련하여 총 9000억 원의 융자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세금 납부기한을 연장하고, 지자체와 협조하여 재산세도 감면하고 있다"며 "호텔 품질·안전 등급평가도 감염병 경보가 해제될 때까지 유보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극복 관광상품권' 지급과 또 음식·숙박·관광업에 대한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소득공제율 확대는 소비 진작에 도움이 될 것 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외환위기 때 정리해고의 아픔 속에서 사회 안전망의 기틀을 마련했고, 글로벌 금융위기를 '일자리 나누기'로 극복했다"며 "여러분은 '코로나19'의 위기 앞에서 '일자리 지키기'라는 큰 역할을 해주셨고, 투숙객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비대면 서비스와 특급 호텔 음식을 온라인 쇼핑에서 판매하는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며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주고 계시다"고 격려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코로나 상황이 많이 진정이 되면서 정부는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을 준비를 하고 있고, 황금연휴에 이어서 5월 중에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되면 내수가 살아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상생의 힘을 보여주신 여러분께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우리가 함께 이 위기를 반드시 이겨내자는 말씀을 드린다"며 "여러분이 보여준 '연대와 상생'의 힘이 호텔업계를 넘어서 서비스업, 또 제조업 전 업종으로 확산돼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전 국민의 자발적 연대와 협력에 기반한 K-방역으로 모범을 보여, 전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처로 평가받고 있다. 현 위기국면의 터널을 벗어나면 한국 경제가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올 것"이라면서 "노사정이 함께 협력해 위기를 잘 이겨내자"고 당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의 가장 큰 걱정은 고용과 일자리를 어떻게 지킬 것인가"라며 "지금의 상황에서 기업의 사회적 기여 혹은 책임은 고용을 유지하는 것이다. 기업 혼자만의 힘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는 강력한 지원 정책으로 기업의 위기극복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황금연휴 방역과 관련해 "내일부터 시작되는 연휴 기간 동안 방역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해 달라"며 "높은 투표율을 기록한 총선을 치르면서 방역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던 것처럼 이번 연휴도 잘 보내면 본격적으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고, 내수도 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