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혁신창업의 현장에서 우리 자랑스러운 청년 스타트업 리더들을 만나게 되어 기쁘고 미국 포브스가 선정한 30세 이하 글로벌 리더에 우리나라의 21개 스타트업 청년 CEO들이 뽑혔다"며 "K-스타트업의 위상을 한껏 높여 주었을 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들께도 큰 희망을 주었으며, 오늘의 주인공들은 세계 속의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강남구 역삼동 '나라키움 청년 창업허브'에서 열린 글로벌 청년 스타트업 간담회 자리에서 "코로나19를 극복해 가는 과정에서도 우리 벤처스타트업의 활약이 눈부셨다. 코로나 맵, 마스크 맵으로 실시간 정보 제공을 해 주었고, 신속 진단키트 개발로 전세계에 K-방역을 알렸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원격근무 시스템과 돌봄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여 어려울 때 힘이 되어 준 착한 스타트업들도 탄생했다. 창의와 혁신으로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미래를 열어가는 여러분에게 거는 기대가 매우 크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출범 초부터 혁신창업 국가를 핵심 국정과제로 삼았다"며 "여러 차례 벤처·스타트업 현장을 직접 찾아가 만났고, 현장의 어려움도 해결하고자 노력했다"고 언급했다.
특히 "혁신적 아이디어만 있다면 누구나 쉽게 창업하고 재기할 수 있도록 혁신모험펀드를 조성하고 연대 보증을 폐지했고 기술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혁신금융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또 "정부는 출범 초부터 혁신창업 국가를 핵심 국정과제로 삼고 규제샌드박스와 규제자유특구를 도입해 창업을 가로막는 규제도 과감히 걷어냈다"며 "그 결과, 지난해 신규 벤처투자가 4조3,000억 원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고, 신설 법인 수도 10만9,000개를 돌파했다. 유니콘 기업은 11개로, 예비 유니콘 기업도 235개로 크게 늘었다"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출범 초부터 혁신창업 국가를 핵심 국정과제로 삼았다"며 "여러 차례 벤처·스타트업 현장을 직접 찾아가 만났고, 현장의 어려움도 해결하고자 노력했다"고 언급했다.
특히 "혁신적 아이디어만 있다면 누구나 쉽게 창업하고 재기할 수 있도록 혁신모험펀드를 조성하고 연대 보증을 폐지했고 기술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혁신금융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또 "정부는 출범 초부터 혁신창업 국가를 핵심 국정과제로 삼고 규제샌드박스와 규제자유특구를 도입해 창업을 가로막는 규제도 과감히 걷어냈다"며 "그 결과, 지난해 신규 벤처투자가 4조3,000억 원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고, 신설 법인 수도 10만9,000개를 돌파했다. 유니콘 기업은 11개로, 예비 유니콘 기업도 235개로 크게 늘었다"고 부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그러던 중 코로나 경제 위기를 맞이했다. 이제부터 다시 시작"이라며 "스타트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기까지는 '죽음의 계곡', '다윈의 바다' 같은 많은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혁신적 아이디어가 사업화되어 세계무대에 우뚝 설 수 있도록 정부가 끝까지 힘이 되겠다"며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K-유니콘 프로젝트를 강력히 추진하겠다.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융자, 보증, 시장 개척을 패키지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지금과 같은 예기치 못한 파고도 함께 넘어야 한다"며 "정부는 어려움을 겪는 벤처·스타트업을 돕기 위해 긴급지원방안을 마련했다. 스타트업 특별저리대출과 특례보증신설을 포함해 올해 말까지 2조2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추가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금 상황이 어렵지만 우리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잘 대비한다면 스타트업의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수 있다"며 "전세계적으로 비대면, 온라인화가 본격화될 것이고,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는 비대면 디지털 분야 신산업을 우리가 선도해나갈 수 있도록 한국판 뉴딜을 과감히 추진할 것"이라며 "데이터, 5G, AI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의 3대 영역의 추진방안을 곧 국민들께 보고드리겠다"고 했다.
나아가 "디지털 스마트 대한민국 펀드를 신규로 조성하는 등 디지털 강국 도약을 위해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끝으로 "우리 경제가 활력을 되찾고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혁신창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여러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여러분이 성공해야 더 많은 청년들이 스타트업에 뛰어들고, 혁신창업의 물결이 경제 전반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며 "글로벌 스타트업 리더로 뽑힌 여러분의 사업이 더 번창해 다음에는 글로벌 유니콘 기업 리더로 다시 만나길 기대한다. 함께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세계를 선도해 가자"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