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오월 광주로부터 40년이 되었고 시민과 함께 하는 5·18, 생활 속에서 되살아나는 5·18을 바라며, 정부는 처음으로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을 망월동 묘역이 아닌, 이곳 전남도청 앞 광장에서 거행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민주화의 상징'인 옛 전남도청에서 열린 제40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자리에서 "5·18 항쟁 기간 동안 광장은 서로의 안부를 확인하는 사랑방이었고 용기를 나누는 항쟁의 지도부였다"면서 "우리는 광장에서 결코 잊을 수 없는 대동세상을 보았다"고 회고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직접 시위에 참가하지 않은 시민들과 어린 학생들도 주먹밥을 나누고, 부상자들을 돌보며, 피가 부족하면 기꺼이 헌혈에 나섰다"며 "우리는 독재권력과 다른 우리의 이웃들을 만났고, 목숨마저 바칠 수 있는 민주주의의 참모습을 보았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도청 앞 광장에 흩뿌려진 우리의 민주주의는 지난 40년, 전국의 광장으로 퍼져나가 서로의 손을 맞잡게 했다"며 "드디어 5월 광주는 전국으로 확장됐고, 열사들이 꿈꾸었던 내일이 우리의 오늘이 됐다"고 언급했다.
특히 "그러나 함께 잘 살 수 있는 세상은 아직도 갈 길이 멀다"며 "오늘 우리에게는 서로를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더 많은 광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는 오늘 5·18광장에서 여전히 식지 않은 오월 영령들의 뜨거운 가슴과 만난다"며 "언제나 나눔과 연대, 공동체정신으로 되살아나는 오월 영령들을 기린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월 정신은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한 희망이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며 만들어진 것"이라며 "가족을 사랑하고, 이웃을 걱정하는 마음이 모여 정의로운 정신이 되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광주시민들의 서로를 격려하는 마음과 나눔이, 계엄군의 압도적 무력에 맞설 수 있었던 힘이었다"며 "광주는 철저히 고립되었지만, 단 한 건의 약탈이나 절도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 정신은 지금도 우리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마음에 깃들어 있다"며 "코로나 극복에서 세계의 모범이 되는 저력이 되었다"고 치켜세웠다.
아울러 "병상이 부족해 애태우던 대구를 위해 광주가 가장 먼저 병상을 마련했고, 대구 확진자들은 건강을 되찾아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며 "'오월 어머니'들은 대구 의료진의 헌신에 정성으로 마련한 주먹밥 도시락으로 어려움을 나눴다"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오월 정신은 역사의 부름에 응답하며 지금도 살아있는 숭고한 희생정신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1980년 5월 27일 새벽, 계엄군의 총칼에 이곳 전남도청에서 쓰러져간 시민들은 남은 이들이 더 나은 세상을 열어갈 것이라 믿었고 오늘의 패배가 내일의 승리가 될 것이라 확신했다. 산 자들은 죽은 자들의 부름에 응답하며, 민주주의를 실천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광주의 진실을 알리는 것이 민주화 운동이 됐고, 5·18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위대한 역사가 됐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나라면 그날 도청에 남을 수 있었을까?' 그 대답이 무엇이든 스스로에게 물어보는 시간을 가졌다면, 우리는 그날의 희생자들에게 응답한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사람이 사람끼리 서로 공감하며 아픔을 나누고 희망을 만들어내듯, 우리는 진실한 역사와 공감하며, 더 강한 용기를 얻고, 더 큰 희망을 만들어냈다"며 "그것이 오늘의 우리 국민"이라고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도 5·18의 진상 규명과 관련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지난 5월12일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남겨진 진실을 낱낱이 밝힐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진실이 하나씩 세상에 드러날수록 마음속 응어리가 하나씩 풀리고, 우리는 그만큼 더 용서와 화해의 길로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라며 "왜곡과 폄훼는 더 이상 설 길이 없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발포 명령자 규명과 계엄군이 자행한 민간인 학살, 헬기 사격의 진실과 은폐·조작 의혹과 같은 국가폭력의 진상은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처벌이 목적이 아니다. 역사를 올바로 기록하는 일이다. 이제라도 용기를 내어 진실을 고백한다면 오히려 용서와 화해의 길이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5·18 행방불명자 소재를 파악하고 추가 희생자의 명예회복과 배·보상에 있어서도 단 한 명도 억울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진상규명의 가장 큰 동력은 광주의 아픔에 공감하는 국민들"이라면서 "국민이 함께 밝혀내고 함께 기억하는 진실은 우리 사회를 더욱 정의롭게 만드는 힘이 되고, 국민 화합과 통합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나아가 "헌법 전문에 '5·18민주화운동'을 새기는 것은 5·18을 누구도 훼손하거나 부정할 수 없는 대한민국의 위대한 역사로 자리매김하는 일"이라며 "2018년, 저는 '5·18민주이념의 계승'을 담은 개헌안을 발의한 바 있다. 언젠가 개헌이 이루어진다면 그 뜻을 살려가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월 정신은 도청과 광장에서 끊임없이 되살아날 것"이라며 "전남도청의 충실한 복원을 통해 광주의 아픔과 정의로운 항쟁의 가치를 역사에 길이 남길 수 있도록 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세상을 바꾸는 힘은 언제나 국민에게 있다. 광주를 통해 우리는 서로의 마음을 더 많이 모으고, 더 많이 나누고, 더 깊이 소통하는 것이 민주주의라는 것을 경험했으며, 우리에게 각인된 그 경험은 어떤 어려움 앞에서도 언제나 가장 큰 힘이 되어줄 것"이라며 "이제 우리는 정치·사회에서의 민주주의를 넘어 가정, 직장, 경제에서의 민주주의를 실현해야 하고, 나누고 협력하는 세계질서를 위해 다시 오월의 전남도청 앞 광장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끝으로 "그것이 그날, 도청을 사수하며 죽은 자들의 부름에 산 자들이 진정으로 응답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