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전국에 7개 강우레이더 관측망이 구축된다.
환경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 홍수가 여름철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고 대응 체계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전국 강우레이더 관측망의 본격 운영에 앞서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9일 오후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에 위치한 예봉산(해발 683m) 강우레이더 관측소를 방문해 여름철 홍수대비 준비상황을 점검했다.
예봉산 강우레이더 관측소는 수도권, 한강 유역과 강원도 영서 일부 지역에 내리는 비를 관측할 수 있는 대형 강우레이더로 지난해 10월 문을 열고 공식적인 운영을 시작했다.
예봉산 강우레이더 관측소는 2004년 발표한 ‘전국 강우레이더 기본계획’에 따라 대형 강우레이더 중 7번째로 지어졌다. 빗방울 크기까지 계산할 수 있을 정도의 정밀성을 가지고 있다.
환경부는 기후변화로 자주 발생하는 국지성 돌발홍수와 도시침수에 효과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강우레이더를 활용한 홍수예보를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먼저 실시간으로 면단위 강수량 관측이 가능한 강우레이더를 이용해 돌발홍수를 예측하고 사전 경고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5월 15일~10월 15일 홍수기 때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해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부터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홍수특보 65개 지점은 물론 홍수정보 409개 지점과 강우 레이더기지에서 생산되는 정보를 더욱 정밀하고 신속하게 통합 운영해 홍수예보에 활용할 예정이다.
동해안 지역처럼 급경사 지형 특성상 같은 양의 비도 짧은 시간 내에 대형 홍수로 변하는 점을 고려해 비의 양과 하천 수위 간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예보에 활용하는 시스템도 내년까지 구축한다.
환경부 홍정기 차관은 “예봉산 강우레이더 관측소가 수도권의 강우를 관측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는 만큼 수도권 홍수예보 대응에 파수꾼 역할을 할 것이다”며 “강우레이더를 관리하는 홍수통제소 역시 선제적 대응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앞장 설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