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국가적으로 위기에 처할 때마다 우리 노사정은 함께 뜻을 모으고 연대하고 협력하며 위기를 극복해 온 역사적 전통을 갖고 있다"며 "외환위기때 처음으로 노사정 사회적 합의를 이뤄 위기 극복에 큰 힘이 됐고, 글로벌 금융위기때 노사민정 합의를 통해 OECD 국가 중 가장 빨리 경제위기 극복한 경험이 있으며, 오늘 합의 또한 미증유의 코로나 경제 위기를 극복하는 데 굳건한 발판이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종로구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협약식'에 참석한 자리에서 "서로 조금씩 고통을 분담하여 이룬 합의가 기업과 일자리를 지키면서 빠른 경제 회복은 물론 경제적 불평등 해소에도 큰 도움이 되리라 확신한다"며 "정부는 이번 노사정 합의 정신을 존중하여 약속한 사항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이미 잠정 합의문에 담겨있던 내용을 3차 추경에 전액 반영하기로 했고 전 국민 고용보험도입을 위한 로드맵 마련, 국민취업지원제도의 단계적 확대, 상병 수당의 사회적 논의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정부와 함께 노사도 "합의 이행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이번 합의문에 머물지 않고 우리 사회의 포용성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며 "정부가 새로운 국가발전전략으로 강력히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의 근본적 토대가 고용사회안전망 강화다. 위기가 불평등을 심화시켰던 전례들을 깨고, 지나친 양극화와 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해 나가는 계기로 삼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그러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 서로 고통을 분담하는 사회적 합의다. 지금 우리는 경제 위기의 긴 터널을 지나고 있고 코로나 경제극복은 정부의 힘만으로 부족하다"며 "노사정이 함께 힘을 모은다면 3분기부터 경제 반등을 이루며 빠르게 위기를 극복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제 위기 극복뿐이 아니다. 앞으로 보다 본격화될 디지털 경제가 가져올 혁명적인 사회․경제적 구조 변화와 일자리의 변화 속에서 우리가 포용적인 사회를 유지해 나가려면 사회적 합의와 대타협이 더욱 절실하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오늘부터 새로운 시작이다. 경사노위가 중심이 되어 노사정이 상생하고 협력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주시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끝으로 "이번 합의 이행에 대한 충실한 이행으로부터 시작하여 더 진전된 후속 논의로 이어나가기를 기대한다"며 "정부는 경사노위에서 논의하고 합의한 사항을 최대한 존중하여 정책에 적극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