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외국인들이 쉽고 편리하게 국악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 표준 번역 시안이 나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립국악원, 국립국어원과 함께 국악계와 공연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요 국악용어 300개에 대한 ‘국악용어 영문 표준 번역 시안(이하 표준 번역 시안)’을 마련해 발표했다.
그동안 국악용어는 번역어의 표준이 없어 국내외 국악 문화공연과 국악 보급 과정에서 다양한 영문 용어가 사용됐다.
‘표준 번역 시안’은 국악용어 전체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맞추어 적고 그 뒤에 용어의 속성을 가리키는 말을 영어로 덧붙여 설명하는 방식을 기본 원칙으로 한다.
‘사물놀이’는 ‘Samullori Instrumental Music’으로, ‘가야금’은 ‘Gayageum Zither’로 적는 방식이다.
다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판소리(Pansori), 가곡(Gagok), 농악(Nongak), 처용무(Cheoyongmu), 강강술래(Ganggangsullae), 아리랑(Arirang)’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지정된 ‘의궤(Uigwe)’ 등은 우리말 소리를 그대로 로마자로 옮겨 적기로 했다.
지난 5월 방탄소년단 슈가의 노래를 통해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진 ‘대취타(Daechwita)’도 부가 설명을 붙이지 않는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신한류 확산으로 우리 국악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도 늘어나고 있는 만큼 관련 용어에 대한 표준을 제시해 널리 국악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