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25년 만에 수원과 인천 구간이 하나의 철도로 연결된다.
국토교통부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역에서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을 연결하는 수원~인천 복선전철(이하 수인선)이 오는 12일 전 구간 개통된다고 밝혔다.
일제 수탈을 상징하는 우리나라의 마지막 협궤철도를 표준궤도의 광역철도로 개량하는 수인선 사업은 총사업비 2조74억 원이 투입된 국책사업이다. 협궤철도는 철도 궤간(軌間)의 폭이 표준궤도(1435㎜)보다 좁은 궤도(762㎜)다.
1995년 7월부터 2004년 5월까지 기본계획과 설계용역을 거쳐 2004년 12월 1단계 구간 공사를 시작해 총 3단계로 나누어 시행됐다. 2012년 6월 가장 먼저 개통한 1단계 구간은 오이도~송도를 잇는 13.1km 구간이다. 2016년 2월 개통한 2단계 구간은 인천~송도(7.3㎞)를 거쳐 오이도역까지 총 20.7km 14개 역을 운행해 왔다.
수원~고색~오목천~어천~야목~사리~한대앞(19.9km) 구간 개통으로 기존 협궤 노선 폐선 이후 25년 만에 처음으로 수원과 인천 구간이 하나의 철도로 연결된다.
수원~한대앞 개통으로 수인선은 분당선(수원~분당~왕십리·청량리)과 직결해 전철이 운행된다. 수인선·분당선 직결 시 총 운행거리가 108km 달해 수도권 전철 노선 중 3번째로 긴 노선이 탄생한다.
수인선 전 구간 개통으로 인천과 시흥, 안산, 화성, 수원에서 용인, 성남 등으로 이동이 편리해지고 주요 거점역인 수원역으로 가는 거리와 시간이 모두 크게 줄어든다. 현재 1호선을 이용해 인천에서 수원으로 갈 경우 90분이 소요됐지만 20분 단축해 도착할 수 있게 된다.
국토부 김현미 장관은 “지금까지는 인천, 시흥, 안산, 화성에서 수원역까지 전철망이 연결돼 있지 않아 버스를 이용하거나 금정역과 구로역까지 이동해 1호선으로 환승해야 했다”며 “수인선 개통으로 인천역에서 수원역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해 편리하게 왕래할 수 있게 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