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해양수산부와 극지연구소는 남극과학기지 월동연구대를 태운 국내 유일한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31일 139일간의 남극항해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아라온호는 월동연구대 35명을 포함해 총 84명의 승무원을 태우고 31일 광양항을 출발한 뒤 장보고과학기지와 세종과학기지를 차례로 들러 월동연구대 교대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후 장보고과학기지 주변 로스해와 세종과학기지 주변 해역 등지에서의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내년 3월 국내로 돌아올 예정이다.
남극 세종과학기지는 1988년 남쉐틀랜드군도 킹조지섬에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남극 과학기지로 기후변화, 해양, 대기, 오존층, 유용생물자원 연구와 기상관측, 남극특별보호구역 운영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장보고과학기지는 2014년 동남극 빅토리아랜드 테라노바만 연안에 세워진 우리나라의 두 번째 남극 과학기지로 우주, 천문, 빙하, 운석 등 대륙기반 국제 공동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아라온호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중간에 정박하거나 하선하지 않고 유류 등만 보급하면서 기지까지 직접 가기 때문에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 기항지인 남극세종과학기지에서 내리는 월동연구대는 최장 76일간 아라온호를 타게 된다.
월동연구대 교대 임무가 끝나면 아라온호는 장보고과학기지 주변 로스해 해양보호구역에서 남극 해양 생물자원의 분포 자료를 수집한다. 특히 기존에 로스해 북부 수역에 집중됐던 연구 범위를 남부 수역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세종과학기지 주변 해역에서는 남극에서 발생하는 지진현상 분석에 필요한 해저지형 레이더 정보를 수집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